추상대수학, 그 스무 번째 이야기 | Semidirect Product & Direct Product  By SuminKim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이번 글에서는 직접곱과 반직접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역시 선형대수학을 공부해본 독자라면 아마 두 벡터공간의 direct product 혹은 direct sum에 대하여 접해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군에서는 그 정의가 살짝 다르다. 아래의 정의를 보자.

 

Definition 1. Direct Product (Finite)

군 $G_1,G_2, \cdots G_n$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G = G_1 \times G_2 \times \cdots \times G_n$을 군 $G_1,G_2, \cdots G_n$의 Direct Product라고 한다.

(a) 군의 집합으로 $G_1,G_2, \cdots , G_n$의 Cartesian Product를 가진다. 즉,  $G$는 모든 $i = 1,2, \cdots ,n$에 대해 $g_i \in G_i$를 만족하는 $n$-tuple들의 집합이다.

(b) 연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각 $G_i$의 연산을 $*_i$ 라고 하고, $G$의 연산을 $*$라고 하자. $$(g_1,g_2, \cdots, g_n) * (h_1,h_2,\cdots, h_n) = (g_1 *_1 h_1, g_2 *_2 h_2, \cdots, g_n *_n h_n)$$그러면 $G$는 군의 공리를 모두 만족한다.

 

하지만 위와 같이 $n$-tuple을 사용하는 정의는 개수가 유한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

서적에 따라서 함수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정의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Definition 2. Direct Product / Sum

군의 집합 $G_{i_1},G_{i_2}, \cdots$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G = G_{i_1} \times G_{i_2} \times \cdots $을 군 $G_{i_1},G_{i_2}, \cdots $의 Direct Product라고 한다.
index set $I = \{ i_1,i_2, \cdots \}$를 이용하여 $\{G_i\}_{i \in I}$의 direct product라고 하기도 한다.

(a) 군의 집합으로 $G_1,G_2, \cdots , G_n$의 cartesian product를 가진다. 즉 $G$를 다음과 같이 함수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 G = \{ f : I \to \displaystyle\bigcup_{i \in I} G_i \;|\; \forall i \in I, f(i) \in G_i \} $$
(b) 연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각 $G_i$의 연산, 항등원을 각각 $*_i,1_i$ , $G$의 연산을 $*$라고 하자. $$\forall i \in I, (f * g)(i) = f(i) *_i g(i)$$
그러면 $G$는 군의 공리를 모두 만족한다.
또, $$ G = \{ f : I \to \displaystyle\bigcup_{i \in I} G_i \mid \lvert \{ i \in I \mid f(i) \neq 1_i \} \rvert < \infty \land \forall i \in I, f(i) \in G_i \} $$ 로 수정하면 이를 Direct Sum이라고 한다.

 

이제 direct product의 정의에 대해 알았으니, semidirect product에 대하여 알아보자.

 

Definition 3. Semidirect Product

군 $H,K$, homomorphism $\phi : K \to \operatorname{Aut}(H)$가 주어졌을 때, $G = H \rtimes_{\phi} K$를 $N$과 $H$의 $\phi$를 통한 Semidirect Product라고 한다. 이때, $\operatorname{Aut}(H)$는 $H$ 위의 Automorphism의 집합이다.

(a) 군의 집합으로 $H \times K$를 가진다.

(b) 연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H,K,G$의 연산을 각각 $*_H,*_K,*_G$라고 하자. $(h_1,k_1) *_G (h_2,k_2) = (h_1 *_H (\phi(k_1))(h_2), k_1 *_K k_2 )$

그러면 $G$는 군의 공리를 모두 만족한다.

 

주로 $\phi(k)(h) = khk^{-1}$와 같이 left conjugation action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잦고, 이러한 경우 $\phi$를 생략하여 $H \rtimes K$라고 쓰기도 한다.

먼저, semidirect product에 관련된 몇 가지 동치 명제들을 알아보고, 그 뒤 연산에 부여되는 homomorphism이 left conjugation action일때 새로이 얻게 되는 동치 명제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Theorem 1. Equivalent Propositions

군 $H,K$, Homomorphism $\phi : K \to Aut(H)$가 주어졌을 때 아래 세 명제는 서로 동치이다.

(a) $H \rtimes_{\phi} K$ 와 $H \times K$ 사이 identity map (항등 사상)은 group-homomorphism이 된다.

(b) $\phi = \operatorname{id}_H$이다. ( $\operatorname{id}_H$는 $H \to H$로 가는 identity map이다. )

(c) $K' = \{ (1,k') | k' \in K \} \trianglelefteq G = H \rtimes_{\phi} K $이다.

 

Proof.

Part (a) -> (b)

(a)의 가정에 의하여 $$ \forall h_2 \in H, \forall k_1 \in K, \phi(k_1)(h_2) = h_2 $$

$\blacksquare$

Part (b) -> (c)

임의의 $g = (h,k) \in G$, $h = (1,k') \in K'$에 대하여 $ghg^{-1} \in K'$를 보이자.

먼저, (b)의 가정에 의하여, $(h,k)^{-1} = (h^{-1},k^{-1})$이다.

$$(h,k)(1,k')(h,k)^{-1} = (h,kk')(h,k)^{-1} = (1,kk'k^{-1}) \in K'$$

$\blacksquare$

Part (c) -> (a)

먼저, $H' = \{ (h',1) | h' \in H \} \trianglelefteq G = H \rtimes_{\phi} K $ 임을 앞선 논의와 유사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h \in H' , k \in K'$에 대해 교환자 $[h,k]$를 생각하면 $[h,k] \in H \cap K = 1 $이 되어, $H',K'$가 가환임을 얻는다.

또, $\phi$의 함수값은 반드시 homomorphism이 되어야 하므로, 항등원이 항등원으로 대응된다는 사실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역원에 대해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생각하자. $$\begin{align*}(\phi(k)(h),1) &= (\phi(k)(h) \phi(k)(1), kk^{-1}) = (\phi(k)(h),k)(1,k^{-1}) \\ &= (1,k) (h,1)(1,k^{-1}) = (1,k)(h,1)(1,k)^{-1} = (h,1)\end{align*}$$

위 식은 임의의 $h \in H' , k \in K'$에 대해 성립하므로, $\phi$가 항등사상이라는 사실을 얻고, 자연스레 (a)를 얻는다.

$\blacksquare$

 

이제 $\phi$가 left conjugation action으로 정의될 때 성립하는 동치인 명제들에 대해 알아보자.

 

Theorem 2. Equivalent Propositions

군 $G$와 이의 항등원 $1$, $H \leq G , N \trianglelefteq G$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 네 명제는 서로 동치이다.

(a) $G = NH, N \cap H = 1$

(b) $\forall g \in G, \exists ! n \in N, h \in H : g = nh$

(c) $\forall g \in G, \exists ! n \in N, h \in H : g = hn$

(d) $\iota : \begin{cases} H \to G \\ h \mapsto h \end{cases}$ , $\pi : \begin{cases} G \to G/N \\ g \mapsto gN \end{cases}$에 대해, $\pi \circ \iota$는 isomorphism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G = N \rtimes H$라고 한다.

 

증명은 어렵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phi$에 따라 $G = H \rtimes_{\phi} K $가 달라질 수 있고, 서로 isomorphic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수가 $8$인 순환군과 위수가 $2$인 순환군의 direct product는 이들의 semidirect product이며, 또한, 위수가 $16$인 dihedral group 역시 위수가 $8$인 순환군과 위수가 $2$인 순환군의 semidirect product이다. 그러나, 위수가 $16$인 dihedral group은 아벨군이 아니므로 위수가 $8$인 순환군과 위수가 $2$인 순환군의 direct product와 isomorphic하지 않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