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 그 열세 번째 이야기 | 군에서의 동형 정리 ( Isomorphism Theorems for Groups )  By 초코맛 도비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이번 글에서는 군에서의 동형 정리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사실, 동형 정리는 하나의 정리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3가지의 정리를 지칭한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정리를 제1동형 정리, 제2동형 정리, 제3동형 정리로 부를 것이다. 사실, 이 세 가지의 동형정리는 이름만 같을 뿐, 각각이 독립적인 정리이며, 각 정리가 가지고 있는 의미 역시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이번 글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눠서 작성할 것이다. 아래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Table of Contents

 

 

Part 0. 동형 정리 ( Isomorphism Theorems )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동형 정리는 하나의 정리가 아닌, 독립적인 세 개의 정리를 총칭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뇌터 정리로도 유명한 수학자 에미 뇌터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군 뿐 아니라 여러 대수적 구조에서도 성립하는 정리이다.

사실, 동형 정리는 보편 대수의 정리이며, 아래의 정리들을 말한다. 본 글에서는 군에 대한 동형 정리만을 다룰 것이다.

 

Theorem 0. 동형 정리 ( Isomorphism Theorems )

제1동형 정리 ( First Isomorphism Theorem )
Homomorphism $\phi : A \to B$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phi(A) \subseteq B$는 $B$의 부분대수이다.
  • $a \sim b \Leftrightarrow \phi(a) = \phi(b)$는 $A$ 위의 합동 관계이다.
  • $\phi/\sim : A/\sim \to \phi(A)$는 isomorphism이다.
제2동형 정리 ( Second Isomorphism Theorem )
대수 $(A,F)$와 그의 부분대수 $(B,F|_B) \subseteq (A,F)$ 및 $A$ 위의 합동 관계 $\sim$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sim|_B$는 $B$ 위의 합동 관계이다.
  • $B^\sim = \{ \left[ a \right] \in A/\sim \;|\; \left[ a \right] \cap B \neq \varnothing \}$는 $A/\sim$의 부분대수이다.
  • $B^\sim$은 $B/\sim|_B$와 isomorphic하다.
제3동형 정리 ( Third Isomorphism Theorem )
대수 $A$ 위의 두 합동 관계 $\sim_1$과 $\sim_2$가 주어졌으며, $a \sim_1 b \Rightarrow a \sim_2 b$가 성립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A/\sim_1$ 위의 이항 관계 $\sim_2 / \sim_1 = \{ \left( [a_1]_{\sim_1}, [a_2]_{\sim_2} \right) \;|\; \left( a_1, a_2 \right) \in \sim_2 \}$는 $A/\sim_1$ 위의 합동관계이다.
  • $(A/\sim_1)/(\sim_2/\sim_1)$는 $A/\sim_2$와 isomorphic하다.

 

위 정리에 대한 증명은 추후 보편 대수에 대해 다루게 되면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Part 1. 제1동형 정리 ( First Isomorphism Theorem )

 

군에서의 제1동형 정리란, 아래의 정리를 말한다.

 

Theorem 1. 군에서의 제1동형 정리 ( First Isomorphism Theorem for Groups )

group-homomorphism $f : G \to H$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Proof.

먼저, $f(G) \leq H$인 것은 이글의 Theorem 2에 의해 자명하다.

또한, 이글의 Theorem1에 의해 $\text{ker} f \trianglelefteq G$이다.

따라서 $\text{ker} f \cong f(G)$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서술의 편의를 위해 $K = \text{ker} f$라고 하고, 사상 $\mu : G/K \to f(G)$를 $\mu : xK \mapsto f(x)$로 정의하자.

그러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mu$는 잘 정의된다.

$$\begin{array}{ll} xK = yK & \Leftrightarrow x^{-1}y \in K \\ & \Leftrightarrow f(x^{-1}y) = e_H \\ & \Leftrightarrow f(x^{-1})f(y) = e_H \\ & \Leftrightarrow f(x)^{-1}f(y) = e_H \\ & \Leftrightarrow f(y) = f(x) \end{array}$$

위 과정을 반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mu$가 단사 함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mu(G/K) = \{ \mu(xK) \;|\; x \in G \} = \{ f(x) \;|\; x \in G \} = f(G)$이므로 $\mu$는 전사 함수이다.

이제 $\mu$가 $G/K$에서 $f(G)$로 가는 group-homomorphism임을 보이면 $\mu$가 $G/K$에서 $f(G)$로 가는 isomorphism임이 보여지며, 따라서 정리가 증명된다.

임의의 $x,y \in G$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u(xKyK) = \mu(xyK) = f(xy) = f(x)f(y) = \mu(xK) \mu(yK)$$

따라서 $\mu$는 $G/K$에서 $f(G)$로 가는 group-homomorphism이며, 정리가 증명된다.

$\blacksquare$

 

 

 

 

Part 2. 제2동형 정리 ( Second Isomorphism Theorem )

 

군에서의 제2동형 정리란, 아래의 정리를 말한다.

 

Theorem 2. 군에서의 제2동형 정리 ( Second Isomorphism Theorem for Groups )

군 $G$와 부분군 $H \leq G$, 그리고 정규 부분군 $N \trianglelefteq G$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H \cap N \trianglelefteq H$
  • $(HN)/N \trianglelefteq G/N$
  • $(HN)/N \cong H/(H \cap N)$

 

위 정리의 세 번째 명제에서 몫군의 표현을 약간 바꾸어 보면, $\frac{HN}{N} \cong \frac{H}{H \cap N}$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분모와 분자의 공통인수를 지우는, 일종의 약분으로 볼 수 있다. 즉, 군에서의 제2동형 정리는 몫군 표현에서 약분과 같은 행위가 허용됨을 의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Proof.

Part a. $H \cap N \trianglelefteq H$

$h \in H$와 $n \in H \cap N$을 생각하자.

그러면, $H$가 $G$의 부분군이라는 사실로부터, $h^{-1}nh \in H$임이 자명하다.

또한, $N$이 $G$의 정규부분군이므로 $h^{-1}nh \in N$임이 자명하다.

따라서 $h^{-1}nh \in H \cap N$이 성립하며, 정의에 의해 $H \cap N$은 $H$의 정규부분군이다.

 

Part b. $(HN)/N \trianglelefteq G/N$

먼저, $(HN)/N$이 잘 정의됨을 확인하기 위해 $N \trianglelefteq HN$임을 보이자.

$h \in H$와 $n_1, n_2 \in N$을 생각하자.

그러면 $N$이 $G$의 정규부분군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hn_1)^{-1}n_2(hn_1) = n_1^{-1}(h^{-1}n_2h)n_1 \in N$$

따라서 $N \trianglelefteq HN$이며, $(HN)/N$이 잘 정의된다.

이제 $g \in G, h \in H, n \in N$을 생각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gN)^{-1}(hnN)(gN) = (g^{-1}N)(hN)(gN) = (g^{-1}hg)N \in G/N$$

따라서 $(HN)/N \trianglelefteq G/N$이다.

 

Part c. $(HN)/N \cong H/(H \cap N)$

이를 증명하기 위해 $\phi : HN \to H/(H \cap N)$를 $\phi : hn \mapsto h(H \cap N)$와 같이 정의하자.

이제 $\phi$가 Epimorphism임을 보이고, $\text{ker}\phi = N$임을 보인 후에 Theorem 1을 적용하면 정리가 증명된다.

먼저 $\phi$가 함수임을 보이자.

$x, y \in HN$에 대하여 $x = h_x n_x, \; y = h_y n_y$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하므로 $\phi$는 함수이다.

$$\begin{array}{lll} x=y & \Rightarrow & h_x n_x = h_y n_y \\ & \Rightarrow & n_x n_y^{-1} = h_x^{-1} h_y \in H \cap N \\ & \Rightarrow & h_x(H \cap N) = h_y(H \cap N) \end{array}$$

이제 $\phi$가 group-homomorphism인 것을 보이자.

임의의 $h_1n_1, h_2n_2 \in HN$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rray}{lll} \phi((h_1n_1)(h_2n_2)) & = & \phi((h_1h_2)(n_1n_2)) \\ & = & (h_1h_2)(H \cap N) \\ & = & (h_1(H \cap N))(h_2(H \cap N)) \\ & = & \phi(h_1n_1)\phi(h_2n_2) \end{array}$$

따라서 $\phi$는 group-homomorphism이다.

이제 $\phi$가 전사임을 보이자. $\phi(HN) = \{ h(H \cap N) \;|\; h \in H \} = H / (H \cap N)$이므로 $\phi$가 전사 함수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phi$는 epimorphism이다. 또한, $\phi$의 정의로부터 $N \subseteq \text{ker}\phi$임이 자명하므로 $\text{ker}\phi \subseteq N$임을 보이면 정리가 증명된다.

어떤 $n \in N, h \in H$에 대하여 $\phi(hn) = H \cap N$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H \cap N$이 $H$의 부분군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h(H \cap N) = H \cap N \Rightarrow he = h \in H \cap N \Rightarrow h \in N$$

따라서 $\text{ker}\phi \subseteq N$이 성립하며, 이로 인해 정리가 증명된다.

$\blacksquare$

 

 

 

 

Part 3. 제3동형 정리 ( Third Isomorphism Theorem )

 

군에서의 제3동형 정리란, 아래의 정리를 말한다.

 

Theorem 3. 군에서의 제3동형 정리 ( Third Isomorphism Theorem for Groups )

군 $G$와 두 정규부분군 $N_1 \leq N_2 \trianglelefteq G$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이 성립한다.
  • $N_2/N_1 \trianglelefteq G/N_1$
  • $(G/N_1)/(N_2/N_1) \cong G/N_2$

 

위 정리의 두 번째 명제에서 몫군의 표현을 약간 바꾸어 보면, $\frac{\frac{G}{N_1}}{\frac{N_2}{N_1}} \cong \frac{G}{N_2}$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분모와 분자에 $N_1$을 곱하는, 일종의 통분으로 볼 수 있다. 즉, 군에서의 제3동형 정리는 몫군 표현에서 통분과 같은 행위가 허용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Proof.

Part a. $N_2/N_1 \trianglelefteq G/N_1$

먼저, $N_1 \trianglelefteq G$이고 $N_2 \leq G$이므로 $N_1 \trianglelefteq N_2$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N_2/N_1$은 잘 정의된다.

이제 $n \in N_2$와 $g \in G$를 생각하자. 그러면 $N_2 \trianglelefteq G$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gN_1)^{-1}(nN_1)(gN_1) = (g^{-1}N_1)(nN_1)(gN_1) = (g^{-1}ng)N_1 \in N_2/N_1$$

 

Part b. $(G/N_1)/(N_2/N_1) \cong G/N_2$

앞서 보인 명제에 의해 $(G/N_1)/(N_2/N_1)$은 잘 정의된다.

이번에는 함수 $\phi : G \to (G/N_1)/(N_2/N_1)$을 $\phi : g \mapsto gN_1(N_2/N_1)$와 같이 정의하자.

이제 $\phi$가 epimorphism임을 보이고, $\text{ker}\phi = N_2$임을 보인 후, Theorem 1을 적용할 것이다.

먼저 $\phi$가 group-homomorphism임을 보이자.

임의의 $x,y \in G$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phi(xy) = (xy)N_1(N_2/N_1) = ((xN_1)(yN_1))(N_2/N_1) = (xN_1(N_2/N_1))(yN_1(N_2/N_1)) = \phi(x)\phi(y) $$

따라서 $\phi$는 group-homomorphism이다.

이제 $\phi$가 전사임을 보이자. $\phi(G) = \{ gN_1(N_2/N_1) \;|\; g \in G \} = (G/N_1)/(N_2/N_1)$이므로 $\phi$가 전사임은 자명하다.

이제 $\text{ker}\phi = N_2$임을 보이면 정리가 증명된다.

임의의 $n \in N_2$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nN_1 \in N_2/N_1 \Rightarrow \phi(n) = nN_1(N_2/N_1) = N_2/N_1 = N_1(N_2/N_1) = \phi(e) $$

따라서 $N_2 \subseteq \text{ker}\phi$가 성립한다.

이제 반대로 $g \in \text{ker}\phi$에 대해 생각하자. 그러면 $N_2/N_1 \trianglelefteq G/N_1$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gN_1(N_2/N_1) = N_2/N_1 \Rightarrow gN_1 \in N_2/N_1 \Rightarrow g \in N_2 $$

그러므로 $\text{ker}\phi \subseteq N_2$가 성립하며, 따라서 정리가 증명된다.

$\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