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 그 열두 번째 이야기 | Homomorphism의 Kernel (Kernel of Homomorphism)
일반적으로, 어떠한 대수적 구조에서 homomorphism $f$의 kernel이란 항등원 $e$를 함수값으로 가지는 원소들의 집합을 말한다.
Kernel은 그 자체로도 단사성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함수값이 같은 두 원소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kernel은 대수적인 구조를 해석하는데에 좋은 직관을 제공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다음은 group-homomorphism에서의 kernel의 정의이다.
군 $H$에 대하여, $H$의 항등원을 $e$라고 하자. $f : G \to H $ 가 group-homomorphism일때, $ \text{ker} f = \{ x \in G | f(x) = e \} $ 로 정의된다. 이때, $\text{ker} f$는 $f$의 kernel을 의미한다. |
이렇게 정의된 kernel은 상당히 좋은 성질을 가지는데, group-homomorphism $f : G \to H$에 대해 $ker f$는 $G$의 정규부분군이다.
군 $G,H$에 대하여, group-homomorphism $f : G \to H$ 에 대해, $ \text{ker} f \trianglelefteq G$ |
Proof.
먼저 $ \text{ker} f < G $임을 보이자.
$ x \in \text{ker} f , y \in ker f $ 이면 $f(x) = f(y) = e_H$ 이므로, $f(xy) = f(x)f(y) = e_H$이다.
따라서 $xy \in \text{ker} f $.
$G,H$ 의 항등원을 각각 $e_G, e_H$라고 하자.
$e_G \in \text{ker} f $ 임을 보이자.
임의의 $x \in G$에 대하여 $e_G x = x $이므로 임의의 $x \in G$에 대하여 $f(e_G x) = f(x) = f(e_G) f(x) $이다.
$H$는 군이므로 $f(x)^{-1}$ 이 존재하며, 이를 위 식의 우측에 곱하면 $ f(e_G) = e_H $ 를 얻을 수 있다.
$x \in \text{ker} f $이면 $ x^{-1} \in \text{ker} f $ 임을 보이자.
주어진 조건에 의해 $ f(x) = e_H$ 이다.
따라서 $ f(x x^{-1}) = f(e_G) = e_H = f(x) f(x^{-1}) = f(x^{-1}) $ 이다.
연산은 G에서 정의된 연산이므로 결합법칙을 만족한다.
이제, $\text{ker} f $가 정규 부분군임을 보이자.
임의의 $x \in G$에 대하여 $x \left( \text{ker} f \right) x^{-1} \subset \text{ker} f$ 임을 보이자.
임의의 $ y \in \text{ker} f $ 에 대해, $f (xyx^{-1}) = f(x)f(y)f(x^{-1}) = f(x)f(x^{-1}) = f(x x^{-1}) = f(e_G) = e_H $ 이므로 성립한다.
$\blacksquare$
'수학 > 추상대수학 | Abstract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상대수학, 그 열네 번째 이야기 | 순환군 ( Cyclic Group ) (0) | 2022.01.11 |
---|---|
추상대수학, 그 열세 번째 이야기 | 군에서의 동형 정리 ( Isomorphism Theorems for Groups ) (1) | 2022.01.06 |
추상대수학, 그 열한 번째 이야기 | 군론에서의 라그랑주 정리 ( Lagrange's Theorem - Group Theory ) (0) | 2021.02.27 |
추상대수학, 그 열 번째 이야기 | 몫군 ( Quotient Group ) (0) | 2021.02.15 |
추상대수학, 그 아홉 번째 이야기 | 켤레와 정규부분군 ( Conjugate & Normal Subgroup )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