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 그 다섯 번째 이야기 | 군의 정의 ( Definition of Group )  By 초코맛 도비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저번 글에서 모노이드 (Monoid)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제 모노이드에 조건을 추가하여 군이라는 새로운 구조를 정의할 것이다. 군은 그 자체만으로도 강력한 조건이며, 동시에 상당히 많은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군 그 자체에 대해 연구하는 군론 (Group Theory)이라는 분야도 존재한다. 어떤 모노이드 $\left<G,*\right>$가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모노이드 $\left<G,*\right>$를 군 (Group)이라고 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글에서 $e\in G$는 $G$의 항등원을 나타낸다.

 

$$\forall a\in G,\;\exists a'\in G\text{ s.t. } aa'=a'a=e$$

 

즉, 다음 개의 명제를 모두 만족하는 이항구조 $\left<G,*\right>$를 군이라고 한다. 참고로, 아래의 성질들은 모두 대수적 성질이며, 이에 대한 증명은 독자에게 맡기도록 하겠다.

 

1. 연산에 대해 닫혀있음
$$\forall a,b\in G,\;a*b\in G$$
2. 결합법칙
$$\forall a,b,c\in G,\;(a*b)*c = a*(b*c)$$
3. 항등원의 존재성
$$\exists e\in G\text{ s.t. }\forall a\in G,\;a*e=e*a=a$$
4. 역원의 존재성
$$\forall a\in G,\;\exists a'\in G\text{ s.t. }a*a'=a'*a=e$$

 

또한,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a'$를 $a$의 역원 (Inverse Element; Inverse)이라고 한다.

 

이때, $G$가 항등원만을 원소로 가지는 경우 $\left<G,*\right>$가 자명하게 군이 된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다. 자명하게 군이 된다는 의미에서 항등원만을 원소로 가지는 군을 자명군 (Trivial Group)이라고 부르며, 자명군을 $\mathbf{1}$로 표기하기도 한다.

 

위와 같이 군을 정의하면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Theorem 1.

군 $\left<G,*\right>$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해 $a$의 역원은 유일하다.

 

Proof:

임의의 $a\in G$에 대해 $a$의 두 역원 $a'$, $a''$을 잡자.

그러면 역원의 정의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a'=a'e=a'(aa'')=(a'a)a''=ea''=a''$$

따라서 $a'=a''$이며, $a$의 역원은 유일하다.

이때, $a$가 임의의 $G$의 원소이므로 $G$의 모든 원소에 대해 위 논의가 성립한다.

$\blacksquare$

 

Corollary 1.1.

군 $\left<G,*\right>$의 임의의 원소 $a$와 그의 역원 $a'$에 대하여, $a'$의 역원은 $a$이다.

 

Proof:

역원의 정의에 의해 $aa'=a'a=e$이며, 역원의 유일성에 의해 $a'$의 역원은 $a$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위 정리에 의해 역원의 유일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a\in G$의 역원이라는 말은 군 $G$의 한 원소를 특정하며, 그 원소를 나타내는 기호가 있는 편이 후술할 여러 정리들을 서술하는 데에 좋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의 역원을 $a^{-1}$과 같이 나타내며, $a^{-n}$을 $(a^{-1})^n$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Theorem 2.

군 $\left<G,*\right>$의 임의의 원소 $a$와 임의의 $n,m\in\mathbb{Z}$에 대해 다음 두 명제가 성립한다.
$$a^{n+m}=a^nm^n \\ a^{nm}=(a^n)^m$$

 

이에 대한 증명은 이 글에서의 지수법칙의 증명과 유사하므로 서술하지 않겠다.

 

또한, 이 역원 관계가 두 군 사이의 homomorphism을 통과해도 유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음 정리를 보자.

 

Theorem 3.

두 군 $\left<G,*\right>$, $\left<H,*\right>$의 항등원이 각각 $e_G$, $e_H$이라고 하자. 그러면 homomorphism $f:G\to H$에 대해 $f(e_G) = e_H$이 성립하며, 임의의 $g\in G$에 대해 $f(g^{-1})=f(g)^{-1}$이 성립한다.

 

Proof:

$e_G=e_G * e_G$이므로 $f(e_G) = f(e_G * e_G) = f(e_G) * f(e_G)$이다.

이제 양변에 $f(e_G)$의 역원을 곱해주면 $e_H = f(e_G)$임을 알 수 있다.

이제 임의의 $g\in G$를 생각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e_H = f(e_G) = f(g * g^{-1}) = f(g) * f(g^{-1}) \\ e_H = f(e_G) = f(g^{-1} * g) = f(g^{-1}) * f(g)$$

따라서 $f(g)$의 역원은 $f(g^{-1})$이다. 즉, $f(g^{-1}) = f(g)^{-1}$이다.

$\blacksquare$

 

다음은 군의 예시이다.

 

Example 1.

양의 실수의 집합 $\mathbb{R}^+$에 대해 모노이드 $\left<\mathbb{R}^+,\cdot\right>$는 군이다.

 

Proof:

임의의 양의 실수 $x$에 대해 $\frac{1}{x}\cdot x = x \cdot \frac{1}{x} = 1$이 성립한다. 즉, 모든 양의 실수에 대해 곱셈의 역원이 존재한다. 따라서 모노이드 $\left<\mathbb{R}^+,\cdot\right>$는 군이다.

$\blacksquare$

 

Example 2.

정수의 집합 $\mathbb{Z}$에 대해 모노이드 $\left<\mathbb{Z},+\right>$는 군이다.

 

Proof:

임의의 정수 $a$에 대해 $(-a)+a=a+(-a)=0$이 성립한다. 즉, 모든 정수에 대해 덧셈의 역원이 존재한다. 따라서 모노이드 $\left<\mathbb{Z},+\right>$는 군이다.

$\blacksquare$

 

당연하지만, 모든 모노이드가 군이 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군이 되지 못하는 모노이드의 예이다.

 

Counterexample 1.

공집합이 아닌 집합 $S$에 대해 모노이드 $\left<\mathcal{P}\left(S\right),\cup\right>$는 군이 아니다.

 

Proof:

$S$가 공집합이 아니므로 $S$의 임의의 부분집합 $X$에 대해 $S\cup X=X\cup S=S\neq\varnothing$이 성립한다. 즉, $S$의 역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left<\mathcal{P}\left(S\right),\cup\right>$는 군이 아니다.

$\blacksquare$

 

Counterexmaple 2.

모든 $n\times n$ 실행렬의 집합 $\mathbb{R}^{n\times n}$에 대해 모노이드 $\left<\mathbb{R}^{n\times n},\cdot\right>$은 군이 아니다.

 

Proof:

선형변환 $O:\mathbb{R}^n\to\mathbb{R}^n$를 $O:\mathbf{v}\mapsto\mathbf{0}$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O$의 역변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O$의 행렬표현행렬곱셈에 대한 역원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모노이드 $\left<\mathbb{R}^{n\times n},\cdot\right>$는 군이 아니다.

$\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