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그 열두 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의 컴팩트 집합의 여러 성질 ( Properties of Compact Sets of Metric Spaces )  By 초코맛 도비

수학/해석학 | Analysis|2021. 11. 19. 05:31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서 예고하였듯이 거리공간의 컴팩트 집합의 여러 성질들에 대해 소개할 것이다. 만약, 컴팩트 집합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른다면 이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아래의 글을 읽은 후에 이 글을 읽기를 바란다.

 

해석학, 그 열한 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에서의 컴팩트 집합 ( Compact Set for Metric Space )

 

그러면 빠르게 본론으로 넘어가서 아래의 정리들을 보자.

 

Theorem 1.

거리공간의 컴팩트 집합은 언제나 닫힌 집합이다. 즉, 거리공간 $X$와 컴팩트 집합 $K \subseteq X$가 주어졌을 때, $K$는 닫힌 집합이다.

 

Proof.

$K$가 거리공간 $X$의 컴팩트 부분집합이라고 가정하자. 만약 $K^\mathsf{c}$가 열린집합이라면, $K$가 닫힌집합이 됨은 자명하다. 그러니 $K^\mathsf{c}$가 열린집합임을 보이자.

$X$ 위의 어떤 점 $p$가 $K$의 원소가 아니라 하고, $K$ 위의 임의의 점 $q$에 대하여 $V_q$와 $W_q$를 각각 $N_p(\frac{1}{2}d(p,q))$, $N_q(\frac{1}{2}d(p,q))$로 정의하자. ( $N_p(r)$의 정의는 이 글을 참고하자. )

$K$가 컴팩트 집합이라는 것으로부터, 다음을 만족하는 유한한 수의 $K$ 위의 점 $q_1$, $q_2$, $\cdots$, $q_n$이 존재한다.

$$ K \subseteq W_{q_1} \cup W_{q_2} \cup \cdots \cup W_{q_n} = W $$

만약 집합 $V$를 $V = V_{q_1} \cap V_{q_2} \cap \cdots \cap V_{q_n}$으로 정의하면, $V$는 $p$의 근방이며, 동시에 $W$와 서로소인 집합이 된다.

따라서 $V \subseteq K^\mathsf{c}$임이 자명하며, 이로부터 $K^\mathsf{c}$의 부분집합인 $p$의 근방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때, $p \in K^\mathsf{c}$의 선택이 임의적이었으므로, $K^\mathsf{c}$가 열린집합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증명이 끝난다.

$\blacksquare$

 

Theorem 2.

거리공간의 컴팩트 집합의 닫힌 부분집합은 언제나 컴팩트 집합이다.

 

Proof.

거리공간 $X$에 대하여 $F \subseteq K \subseteq X$인 컴팩트 집합 $K$와 닫힌집합 $F$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F$의 open cover $\{ V_\alpha \}$를 생각하자.

그러면 $F$가 닫힌집합이라는 사실로부터 $\Omega = \{ V_\alpha \} \cup F^\mathsf{c}$가 $K$의 open cover임을 알 수 있다.

$K$가 컴팩트 집합이므로 $\Omega$의 finite subcover $\Phi$가 존재한다. 이때, $F \subseteq K$이므로 $\Phi$는 $F$의 finite open cover이기도 하다.

만약 $F^\mathsf{c} \notin \Phi$이면 $\Phi$가 $\{ V_\alpha \}$의 finite subcover다.

만약 $F^\mathsf{c} \in \Phi$라면, $F = \displaystyle \bigcup \Phi \cap F \subseteq \bigcup \left( \Phi \setminus \{ F^\mathsf{c} \} \right)$이므로 $\Phi \setminus \{ F^\mathsf{c} \}$가 $\{ V_\alpha \}$의 finite subcover다.

따라서 $\{ V_\alpha \}$의 finite subcover는 존재하며, 이는 곧 $F$가 컴팩트 집합임을 의미한다.

$\blacksquare$

 

Corollary 2.1.

거리공간에서 컴팩트 집합과 닫힌집합의 교집합은 언제나 컴팩트 집합이다.

 

Proof.

Theorem 1과 Theorem 2, 그리고 이 글의 Theorem 4에 의해 자명하다.

$\blacksquare$

 

Theorem 3.

거리공간 $X$와 그의 컴팩트 부분집합의 collection $\{ K_\alpha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 K_\alpha \}$의 임의의 finite subcollection $\mathrm{K}$에 대하여 $\displaystyle \bigcap \mathrm{K} \neq \varnothing$이 성립한다면, $\displaystyle \bigcap \{ K_\alpha \} \neq \varnothing$이 성립한다.

 

Proof.

먼저, $K \in \{ K_\alpha \}$를 고정하고 각 $\alpha$에 대하여 $G_\alpha = K^\mathsf{c}_\alpha$를 정의하자.

귀류법을 이용하여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displaystyle \bigcap \{ K_\alpha \} = \varnothing$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Theorem 1에 의해 각 $G_\alpha$가 열린집합이고, $K \subseteq X = \left( \displaystyle \bigcap \{ K_\alpha \} \right)^\mathsf{c} = \bigcup \{ G_\alpha \}$이므로 $\{ G_\alpha \}$는 $K$의 open cover다.

이때, $K$가 컴팩트 집합이므로 $\{ G_\alpha \}$의 finite subcover $\{ G_{\alpha_1}, G_{\alpha_2}, \cdots, G_{\alpha_n} \}$가 존재하며,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K \cap K_{\alpha_1} \cap K_{\alpha_2} \cap \cdots \cap K_{\alpha_n} = K \cap \left( G_{\alpha_1} \cup G_{\alpha_2} \cup \cdots \cup G_{\alpha_n} \right)^\mathsf{c} = \varnothing $$

그런데, 이는 정리의 조건인 $\{ K_\alpha \}$의 finite subcollection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니라는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처음의 가정인 $\displaystyle \bigcap \{ K_\alpha \} = \varnothing$이 거짓이며, 이는 곧 정리의 증명으로 이어진다.

$\blacksquare$

 

Corollary 3.1.

거리공간 $X$와 그의 공집합이 아닌 컴팩트 부분집합의 열 $\{ K_n \}_{n \in \mathbb{N}}$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K_n \supseteq K_{n+1}$이 성립한다면,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K_n \neq \varnothing$이 성립한다.

 

Theorem 4.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Bolzano-Weierstrass Theorem)

만약 $E$가 컴팩트 집합 $K$의 무한 부분집합이라면, $E$는 $K$ 위의 점인 limit point를 하나 이상 가진다.

 

Proof.

귀류법을 이용한 증명을 위해 $K$ 위의 모든 점이 $E$의 limit point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q \in K$는 $\left( V_q \setminus \{ q \} \right) \cap E = \varnothing$이 성립하도록 하는 $q$의 근방 $V_q$를 가진다.

이때, $K \subseteq \displaystyle \bigcup_{q \in K} V_q$는 자명하므로 $\{ V_q \}_{q \in K}$는 $K$의 open cover다.

$K$가 컴팩트 집합이므로 $\{ V_q \}$의 finite subcover $\{ V_{q_1}, V_{q_2}, \cdots, V_{q_n} \}$이 존재하며, $E \subseteq K$이므로 $E \subseteq V_{q_1} \cup V_{q_2} \cup \cdots \cup V_{q_n}$이다.

그런데, 각 $q \in K$에 대하여 $V_q \cap E$는 최대 한 개의 원소를 가지며, $E$가 무한집합이므로 $E \subseteq V_{q_1} \cup V_{q_2} \cup \cdots \cup V_{q_n}$인 것은 불가능하다.

즉, 처음의 가정인 '$K$ 위의 모든 점은 $E$의 limit point가 아니다'가 거짓이며, 따라서 정리가 증명된다.

$\blacksquare$

 

Definition 1. 유계 (Bounded)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을 만족하는 실수 $M > 0$이 존재한다면, $E$를 유계 (Bounded)라고 하며, 유계인 집합을 유계 집합 (Bounded Set)이라고 한다.
$$ \forall p,q \in E, \; d(p,q) < M $$

 

Theorem 5.

거리공간에서 모든 컴팩트 집합은 유계이다.

 

Proof.

거리공간 $X$와 그의 컴팩트 부분집합 $K$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임의의 $p \in K$에 대하여 $V_p$를 반지름이 $1$인 $p$의 반경이라고 하자.

그러면 $K = \displaystyle \bigcup_{p \in K} \{ p \} \subseteq \bigcup_{p \in K} V_p$이므로 $\{ V_p \}_{p \in K}$가 $K$의 open cover가 됨은 자명하다.

이때, $K$가 컴팩트 집합이므로 $\{ V_p \}_{p \in K}$의 finite subcover $\{ V_{p_1}, V_{p_2}, \cdots, V_{p_n} \}$이 존재한다.

이제 $M = 2+\displaystyle \max_{1 \leq i,j \leq n} d(p_i, p_j)$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p,q \in K$에 대하여 $p \in V_{p_m}$, $q \in V_{p_l}$인 $m,l \in \{ 1,2,\cdots,n \}$가 존재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d(p,q) \leq d(p,p_m) + d(p_m,p_l) + d(p_l,q) < 2+d(p_m,p_l) \leq M $$

따라서 임의의 $p,q \in K$에 대하여 $d(p,q) < M$이 성립하므로 $K$는 유계이다.

$\blacksquare$

 

위의 내용들은 일반적인 거리공간에서의 얘기들이다. 하지만, 앞으로 해석학 카테고리의 글들에서 다루게 될 집합은 유클리드 공간이나 그의 부분집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클리드 공간에서 성립하는 특수한 성질을 추가로 다룰 것이다.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컴팩트 집합인 것과 유계 닫힌집합인 것이 동치이다. 이 내용은 Theorem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Theorem 6을 증명하는 데에 필요한 보조정리들과 Theorem 6의 증명과정이다.

 

Lemma 1.

$\{ I_n \}_{n \in \mathbb{N}}$을 유계 닫힌 구간의 열 (sequence)이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I_n \supseteq I_{n+1}$이 성립한다면,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I_n \neq \varnothing$이 성립한다.

 

Proof.

각 $n$에 대하여 $I_n = \left[ a_n,b_n \right]$라고 하고 집합 $E$를 $a_n$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E$는 공집합이 아니며, $a_n \leq b_n \leq b_0$으로부터 $E$는 위로 유계이다.

따라서 실수의 최소상계성질에 의해 $E$는 상한을 가진다. $x$를 $E$의 상한이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두 자연수 $n,m$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하므로 각 $m$에 대하여 $x \leq b_m$이 성립한다.

$$ a_n \leq a_{n+m} \leq b_{n+m} \leq b_m $$

비슷한 방법으로 각 $m$에 대하여 $a_m \leq x$가 성립함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m \in \mathbb{N}$에 대하여 $x \in I_m$이 성립하며, 이로 인해 $x \in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I_n$이 성립한다.

따라서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I_n$은 공집합이 아니다.

$\blacksquare$

 

Definition 2. k-cell

$k$개의 유계 닫힌 구간 $\left[ a_1, b_1 \right]$, $\left[ a_2, b_2 \right]$, $\cdots$, $\left[ a_k,b_k \right]$의 데카르트 곱 $\left[ a_1,b_1 \right] \times \left[ a_2,b_2 \right] \times \cdots \times \left[ a_k,b_k \right]$를 $k$-cell이라고 한다.

 

Lemma 2.

$\{ I_n \}_{n \in \mathbb{N}}$을 $k$-cell의 열이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I_n \supseteq I_{n+1}$이 성립한다면,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I_n \neq \varnothing$이 성립한다.

 

Proof.

각 $n$에 대하여 $I_n = \left[ a_{n,1},b_{n,1} \right] \times \left[ a_{n,2},b_{n,2} \right] \times \cdots \times \left[ a_{n,k},b_{n,k} \right]$라고 하고 $I_n,j = \left[ a_{n,j},b_{n,j} \right]$라고 하자.

그러면 각 $j$에 대하여 유계 닫힌 구간의 열 $\{ I_{n,j} \}_{n \in \mathbb{N}}$는 Lemma 1의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각 $j$에 대하여 $x_j \in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I_{n,j}$인 실수 $x_j$가 존재한다.

이때, $\mathbf{x} = \left( x_1, x_2, \cdots, x_k \right)$라고 하면, 각 $n$에 대하여 $\mathbf{x} \in I_n$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mathbf{x} \in \displaystyle \bigcap_{n \in \mathbb{N}} I_n$이 성립하며, 이로 인해 보조정리가 증명된다.

$\blacksquare$

 

Lemma 3.

모든 $k$-cell은 컴팩트 집합이다.

 

Proof.

$k$-cell $I = \left[ a_1,b_1 \right] \times \left[ a_2,b_2 \right] \times \cdots \times \left[ a_k,b_k \right]$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delta = \left( \displaystyle \sum_{j=1}^{k}{\left( b_j - a_j \right)^2} \right)^\frac{1}{2}$라고 하면, 임의의 $\mathbf{x}, \mathbf{y} \in I$에 대하여 $\lvert \mathbf{x} - \mathbf{y} \rvert \leq \delta$가 성립한다.

귀류법을 이용한 증명을 위해 finite subcover가 없는 $I$의 open cover $\{ G_\alpha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제 $c_j = \frac{a_j + b_j}{2}$라고 하면, 각 유계 닫힌 구간 $\left[ a_j,c_j \right]$, $\left[ c_j,b_j \right]$는 합집합이 $I$가 되도록 하는 총 $2^k$개의 $k$-cell $Q_i$를 정의한다.

그러면 $I$가 $\{ G_\alpha \}$의 finite subcollection으로 cover되지 못하므로 $Q_i$ 중 적어도 하나는 $\{ G_\alpha \}$의 finite subcollection으로 cover되지 못한다. 이 $Q_i$를 $I_1$이라고 하자.

위와 같이 정의된 $k$-cell $I_1$에 대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다시 반복하자.

그러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는 $k$-cell의 열 $\{ I_n \}$을 얻어낼 수 있다.

1) $I \subseteq I_1 \supseteq I_2 \supseteq I_3 \supseteq \cdots$

2) 각 $n$에 대하여 $I_n$을 cover하는 $\{ G_\alpha \}$의 finite subcollection은 존재하지 않는다.

3) 임의의 $\mathbf{x}, \mathbf{y} \in I_n$에 대하여 $\lvert \mathbf{x} - \mathbf{y} \rvert \leq 2^{-n}\delta$가 성립한다.

이때, 성질 1)과 Lemma 2에 의해 모든 $I_n$의 원소인 점 $\mathbf{x}^*$가 존재한다.

이때, $\{ G_\alpha \}$가 $I$의 open cover이므로 $\mathbf{x}^* \in G_\alpha$이도록 하는 $\alpha$가 존재한다.

$G_\alpha$가 열린집합이므로 $\lvert \mathbf{y}-\mathbf{x}^* \rvert < r \Rightarrow \mathbf{y} \in G_\alpha$이도록 하는 양수 $r > 0$이 존재한다.

이때, 실수는 아르키메데스 성질을 만족하므로 $2^{-n}\delta < r$이 되도록 하는 양의 정수 $n$이 존재한다.

그러한 $n$에 대하여 $I_n \subseteq G_\alpha$인 것은 자명하며, 이는 곧 성질 2)와 모순이다.

따라서 처음의 가정인 finite cover가 없는 $I$의 open cover가 존재한다는 것이 거짓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명제의 증명으로 이어진다.

$\blacksquare$

 

Theorem 6. 유클리드 공간에서 컴팩트일 동치조건 ( Equivalent Conditoins of Being Compact Set in Euclidan Space )

유클리드 공간 $\mathbb{R}^k$의 부분집합 $E$에 대하여 다음 세 가지 명제는 동치이다.
(1) $E$는 유계 닫힌집합이다.
(2) $E$는 컴팩트 집합이다.
(3) $E$의 모든 무한 부분집합은 $E$ 위의 점인 limit point를 하나 이상 가진다.

 

Proof.

먼저, 명제 (1)을 만족하면, $E \subseteq I$인 $k$-cell $I$가 존재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Lemma 3과 Theorem 2에 의해 $E$는 컴팩트 집합이다. 또한, Theorem 4에 의해 명제 (2)가 명제 (3)을 함의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명제 (3)이 명제 (1)을 함의함을 보이면 정리가 증명된다.

만약 $E$가 유계가 아니면, $E$는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lvert \mathbf{x}_n \rvert > n$을 만족하는 $\mathbf{x}_n \in E$를 원소로 가진다.

이제 $S = \{ \mathbf{x}_0, \mathbf{x}_1, \mathbf{x}_2, \cdots \}$라고 하면 $S$는 무한집합임이 자명하며, 또한 $S$가 limit point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 역시 자명하다.

그러나 이는 명제 (3)에 모순이므로 $E$가 유계가 아니라는 가정이 거짓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명제 (3)은 $E$가 유계임을 함의한다.

이제 $E$가 닫힌집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E$의 limit point $\mathbf{x}_0 \in \mathbb{R}^k \setminus E$가 존재한다.

그러면 $\mathbf{x}_0$가 $E$의 limit point라는 사실로부터 각 $n = 1, 2, 3, \cdots$에 대하여 $0 < \lvert \mathbf{x}_n - \mathbf{x}_0 \rvert < \frac{1}{n}$이 성립하도록 하는 $\mathbf{x}_n \in E$가 존재한다.

이제 $T = \{ \mathbf{x}_1, \mathbf{x}_2, \cdots \}$라고 하자. 그러면 $T$는 무한집합이며, $\mathbf{x}_0$를 limit point로 가진다.

또한, $\mathbf{y} \neq \mathbf{x}$인 각 $\mathbf{y} \in \mathbb{R}^k$에 대하여 유한한 $n$을 제외한 모든 $n = 1,2,3,\cdots$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lvert \mathbf{y} - \mathbf{x}_n \rvert \geq \lvert \mathbf{y} - \mathbf{x}_0 \rvert - \lvert \mathbf{x}_0 - \mathbf{x}_n \rvert \geq \lvert \mathbf{y} - \mathbf{x}_0 \rvert - \frac{1}{n} \geq \frac{1}{2} \lvert \mathbf{y} - \mathbf{x}_0 \rvert $$

따라서 $T$는 $\mathbf{x}_0$를 제외한 다른 limit point를 가지지 않으며, 이는 곧 명제 (3)과 모순이다.

따라서 $E$가 닫힌집합이 아니라는 가정이 거짓이며, 이는 곧 명제 (3)이 $E$가 닫힌집합임을 함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제 (3)은 명제 (1)을 함의하며, 결국 정리가 증명된다.

$\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