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그 아홉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에서의 열린집합과 닫힌집합 ( Open Sets & Closed Sets for Metric Space )
이번 글에서는 글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열린집합과 닫힌집합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열린 집합과 닫힌 집합을 정의하기 전에 해당 개념들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을 먼저 알아보자.
거리공간 $X$와 그 위의 점 $p \in X$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양수 $r > 0$에 대하여 집합 $N_r(p) = \{ q \;|\; q \in X \land d(p,q) < r \}$을 점 $p$의 근방 (Neighborhood)이라고 하며, $r$을 근방 $N_r(p)$의 반지름이라고 한다. 또한, 앞으로의 서술의 편의를 위해 $N_r(p) \setminus \{ p \}$를 $N'_r(p)$로 나타내기로 하자. |
Definition 2.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어떤 점 $p \in X$가 다음을 만족한다면, 이러한 점 $p$를 $E$의 Limit Point라고 한다. $$ \forall r > 0, \; N'_r(p) \cap E \neq \varnothing $$ |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어떤 점 $p \in E$가 다음을 만족한다면, 이러한 점 $P$를 $E$의 Interior Point라고 한다. 또한, $E^\mathsf{c}$의 interior point를 $E$의 Exterior Point라고 한다. $$ \exists r > 0 \text{ s.t. } N_r(p) \subseteq E $$ 이때, $E^\mathsf{c}$는 $E$의 여집합 (Complement)을 나타내며, 이는 $X \setminus E$를 말한다. |
이제 집합이 열려있다는 것이 무엇인지, 집합이 닫혀있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볼 차례이다. 열린집합과 닫힌집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거리공간 $X$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E$의 모든 점이 $E$의 interior point라면, $E$가 열려있다 (Open)고 하며, 이러한 집합을 열린집합 (Open Set)이라고 한다. |
Definition 5.
거리공간 $X$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E$의 모든 limit point가 $E$의 원소라면, $E$가 닫혀있다 (Closed)고 하며, 이러한 집합을 닫힌집합 (Closed Set)이라고 한다. |
직관과는 달리, 열려있다는 개념과 닫혀있다는 개념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며, 열려있으면서 동시에 닫혀있는 집합도 존재하고, 열려있지도, 닫혀있지도 않은 집합 역시 존재한다. 다음의 예시들은 이러한 집합들의 예시이며, 이 네 가지의 예시에서 등장하는 모든 집합은 모두 유클리드가 주어진 거리공간 $\mathbb{R}^2$의 부분집합으로 간주한다.
Example 1.
$\varnothing$은 열려있으면서 동시에 닫혀있는 집합이다.
먼저, $\varnothing$의 limit point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varnothing$이 닫힌집합이라는 것은 공허하게 참이다.
또한, $\varnothing$ 위의 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varnothing$이 열린집합이라는 것 역시 공허하게 참이다.
Example 2.
$E = \{ (x,y) \;|\; x^2 + y^2 < 1 \}$는 열린집합이며, 닫혀있지는 않다.
먼저, $E$의 임의의 점 $\mathbf{x}_0 = (x_0, y_0)$에 대하여, $r = 1 - \sqrt{x_0^2+y_0^2}$를 선택하면, $N_r(\mathbf{x}_0)$ 위의 임의의 점 $\mathbf{x}$에 대하여 $d(\mathbf{0},\mathbf{x}) \leq d(\mathbf{0},\mathbf{x}_0) + d(\mathbf{x}_0,\mathbf{x}) < \sqrt{x_0^2+y_0^2} + r = 1$이다. 따라서 $N_r(\mathbf{x}_0) \subseteq E$이며, 이로 인해 $\mathbf{x}_0 \in E$는 $E$의 interior point라는 것을 알 수 있다. $\mathbf{x}_0$의 선택이 임의적이었으므로 $E$는 열려있다.
이제 점 $\mathbf{x}_1 = (1,0)$을 생각하자. 임의의 양수 $r > 0$에 대하여 점 $\mathbf{y} = ( \max (0, 1 - \frac{r}{2}), 0 )$는 항상 $N'_r ( \mathbf{x}_1 )$ 위에 있으며, 동시에 $E$의 원소임이 자명하므로 $\mathbf{x}_1$은 $E$의 limit point이다. 하지만, $\mathbf{x}_1 \notin E$이므로 $E$는 닫혀있지 않다.
Example 3.
$E = \{ (x,y) \;|\; x^2 + y^2 \leq 1 \}$는 닫힌집합이며, 열려있지는 않다.
먼저, $E$ 위의 점 $\mathbf{x}_0 = (1,0)$을 생각하자. 임의의 양수 $r > 0$에 대하여 점 $\mathbf{x} = (1+\frac{r}{2},0)$은 $N_r(\mathbf{x}_0)$ 위의 점이다. 그러나 $\mathbf{x} \notin E$임은 자명하므로 $\mathbf{x}_0 \in E$는 $E$의 interior point가 아니다. 따라서 $E$는 열려있지 않다.
이제 $\mathbb{R}^2$ 위의 임의의 점 $\mathbf{x}_1$을 생각하자. 만약 $d(\mathbf{x}_1, \mathbf{0}) > 1$이라면 $r = d(\mathbf{x}_1,\mathbf{0})-1$을 선택하면, $N_r(\mathbf{x}_1) \subseteq E^\mathsf{c}$임이 자명하므로 $\mathbf{x}_1$은 $E$의 limit point가 될 수 없다. 따라서 $\mathbf{x}_1$이 $E$의 limit point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은 $d(\mathbf{x}_1,\mathbf{0}) \leq 1$이며, 이러한 점은 모두 $E$의 원소이므로 $E$의 모든 limit point가 $E$의 원소이다. 따라서 $E$는 닫혀있다.
Example 4.
$E = \{ (x,0) \;|\; 0<x\leq1 \}$는 열려있지도, 닫혀있지도 않다.
먼저, $E$ 위의 점 $\mathbf{x}_0 = (1,0)$을 생각하자. 임의의 양수 $r > 0$에 대하여 점 $\mathbf{x} = (1 + \frac{r}{2},0)$가 $N_r(\mathbf{x}_0)$의 원소임은 자명하며, 동시에 $\mathbf{x} \notin E$이므로 $\mathbf{x}_0 \in E$는 $E$의 interior point가 아니다. 따라서 $E$는 열려있지 않다.
이제 점 $\mathbf{0} = (0,0)$을 생각하자. 이때, 임의의 $r > 0$에 대하여 점 $\mathbf{y} = ( \min (1,\frac{r}{2}), 0)$가 $N'_r(\mathbf{0})$의 원소임은 자명하며, 동시에 $\mathbf{y} \in E$임 역시 자명하므로 $\mathbf{0}$은 $E$의 limit point이다. 하지만, $\mathbf{0} \notin E$이므로 $E$는 닫혀있지 않다.
이로써 열려있음과 닫혀있음은 논리적으로 아무런 함의관계가 없는 개념임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둘이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음 정리를 보자.
거리공간 $X$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다음 두 명제는 서로 동치이다. (1) $E$는 열린집합이다. (2) $E^\mathsf{c}$는 닫힌집합이다. |
Proof.
먼저, (1)이 (2)를 함의한다는 것을 먼저 보이자.
$E$가 열린집합이라고 하고, $E^\mathsf{c}$의 임의의 limit point $x \in E^\mathsf{c}$를 생각하자. 만약 $x \notin E^\mathsf{c}$라면, $E^\mathsf{c}$의 정의에 따라 $x \in E$이며, $E$가 열린집합이므로 $x$는 $E$의 interior point이다. 따라서 $N_r(x) \subseteq E$인 양수 $r>0$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N_r(x) \cap E^\mathsf{c} = \varnothing$임을 의미하며, 이는 $x$가 $E^\mathsf{c}$의 limit point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따라서 $x \in E^\mathsf{c}$임을 알 수 있으며, $E^\mathsf{c}$는 닫힌집합임을 알 수 있다.
이제 (2)가 (1)을 함의한다는 것을 보이자.
$E^\mathsf{c}$가 닫힌집합이라 하고, $E$의 임의의 점 $x \in E$를 생각하자. 만약 임의의 양수 $r>0$에 대하여 $N_r(x) - E \neq \varnothing$이라면, $x \notin E$로부터 임의의 양수 $r > 0$에 대하여 $N'_r(x) \cap E^\mathsf{c} \neq \varnothing$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x$는 $E^\mathsf{c}$의 limit point가 되며, $E^\mathsf{c}$가 닫힌집합이라는 사실로부터 $x \in E^\mathsf{c}$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x \in E$라는 사실에 모순이므로 $N_r(x) \subseteq E$가 되도록 하는 양수 $r>0$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x$는 $E$의 interior point이며, 이로 인해 $E$는 열린집합임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추가로, $(E^\mathsf{c})^\mathsf{c} = E$이므로 $E$가 닫힌집합인 것과 $E^\mathsf{c}$가 열린집합인 것 역시 동치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사실로, 앞으로 수없이 사용하게 될 것이니 제대로 기억해두자. 이제 닫힌집합과 열린집합의 성질에 대해 알아보자.
Theorem 2.
거리공간 $X$ 위의 점 $x \in X$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양수 $r > 0$에 대하여 $N_r(x)$는 열린집합이다. |
Proof.
$N_r(x)$의 임의의 점 $y$를 생각하자. 이제 $r' = r - d(x,y)$를 선택하자. 그러면 $N_r(x)$의 정의에 따라 $r' > 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N_{r'}(y)$가 존재한다. 이제 $N_{r'}(y)$ 위의 임의의 점 $z$를 생각하자. 그러면 $d(x,z) \leq d(x,y)+d(y,z) < d(x,y) + r' = r$이므로 $z \in N_r(x)$이다. 즉, $N_{r'}(y) \subseteq N_r(x)$이며, 이로부터 $y$가 $N_r(x)$의 interior point임을 알 수 있다. 이때, $y$의 선택이 임의적이었으므로 $N_r(x)$는 열린집합이다.
$\blacksquare$
Theorem 3.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 \subseteq X$가 주어졌다고 하자. $X$ 위의 점 $x$가 $E$의 limit point라고 할 때, $x$의 임의의 근방에는 $E$ 위의 점이 무한히 많다. |
Proof.
이번에는 귀류법을 이용하여 정리를 증명할 것이다. 증명을 위해 $E$ 위의 점이 무한히 많지 않은 $x$의 근방 $N$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N \setminus \{x\}) \cap E = \{ p_1, p_2, \cdots, p_n \}$이라고 쓸 수 있다. 이제 $r = \min ( p_1, p_2, \cdots, p_n )$을 선택하자. 그러면 $N'_r(x) \cap E = \varnothing$임을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는 $x$가 $E$의 limit point라는 사실에 모순이며, 따라서 따라서 $x$의 임의의 근방에는 $E$ 위의 점이 무한히 많다.
$\blacksquare$
Corollary 3.1.
거리공간 $X$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X$의 유한부분집합은 언제나 limit point를 가지지 않는다. |
Lemma 1. 드 모르간의 법칙 ( De Morgan's Law )
거리공간 $X$와 $X$의 부분집합의 모임 $\{ E_\alpha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displaystyle ( \bigcup_\alpha E_\alpha )^\mathsf{c} = \bigcap_\alpha (E_\alpha)^\mathsf{c}$가 성립한다. |
Proof.
서술의 편의를 위해 주어진 식의 좌변을 $A$라고 하고, 우변을 $B$라고 하자.
먼저 $A \subseteq B$임을 보이기 위해 $x \in A$를 생각하자. 그러면 임의의 $E_\alpha$에 대하여 $x \notin E_\alpha$임이 자명하다. 따라서 $x \in (E_\alpha)^\mathsf{c}$가 성립하며 이로 인해 $x \in B$임을 알 수 있다.
이제 $B \subseteq A$임을 보이기 위해 $y \in B$를 생각하자. 그러면 임의의 $E_\alpha$에 대하여 $y \in (E_\alpha)^\mathsf{c}$임이 자명하다. 따라서 $y \notin E_\alpha$가 성립하며 이로 인해 $y \in A$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 = B$임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Proof.
아래의 '증명 보기'를 클릭하면 해당 명제의 증명을 볼 수 있다.
$\{ G_\alpha \}$가 열린집합의 모임이라고 하고 $A = \displaystyle \bigcup_\alpha G_\alpha$라고 하자. 이제 $x \in A$를 생각하자. 그러면 $x \in G_\alpha$인 $G_\alpha$가 존재한다. 이때 $G_\alpha$가 열린집합이므로 $N \subseteq G_\alpha$인 $x$의 근방 $N$이 존재하며, $G_\alpha \subseteq \displaystyle A$이므로 $N \subseteq A$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x$는 $A$의 interior point이며, $x$의 선택이 임의적이었다는 사실로부터 $A$가 열린집합임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 F_\alpha \}$가 닫힌집합의 모임이라고 하자. 그러면 Theorem 1에 의해 각 $F_\alpha$에 대하여 $(F_\alpha)^\mathsf{c}$는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1)에 의해 $\displaystyle \bigcup_\alpha (F_\alpha)^\mathsf{c}$가 열린집합임을 알 수 있다. 이때, Lemma 1에 의해 $(\displaystyle \bigcup_\alpha (F_\alpha)^\mathsf{c})^\mathsf{c} = \bigcap_\alpha F_\alpha$이며, 따라서 Theorem 1에 의해 $\displaystyle \bigcap_\alpha F_\alpha$가 닫힌집합임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G_1, G_2, \cdots, G_n$이 열린집합이라고 하고 $B = \displaystyle \bigcap_{i=1}^n G_i$라고 하자. 이제 $x \in B$를 생각하자. 그러면 각 $i = 1,2, \cdots, n$에 대하여 $x \in G_i$가 성립하고 각 $G_i$가 열린집합이므로 각 $i = 1,2,\cdots,n$에 대하여 $N_i \subseteq G_i$인 $x$의 근방 $N_i$가 각각 존재한다. 이때, 근방 $N_i$의 반지름을 $r_i$라고 하면 $r = \min (r_1,r_2,\cdots,r_n)$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N_r(x) \subseteq B$가 성립함은 자명하므로 $x$가 $B$의 interior point임을 알 수 있다. 이때, $x$의 선택이 임의적이었으므로 $B$가 열린집합이다.
$\blacksquare$
$F_1, F_2, \cdots, F_n$이 닫힌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Theorem 1에 의해 $(F_1)^\mathsf{c}, (F_2)^\mathsf{c}, \cdots, (F_n)^\mathsf{c}$는 모두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3)에 의해 $\displaystyle \bigcap_{i=1}^n (F_i)^\mathsf{c}$가 열린집합임을 알 수 있다. 이때, Lemma 1에 의해 $\displaystyle (\bigcap_{i=1}^n (F_i)^\mathsf{c})^\mathsf{c} = \bigcup_{i=1}^{n} F_i$이므로 Theorem 1에 의해 $\displaystyle \bigcup_{i=1}^{n} F_i$가 닫힌집합임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수학 > 해석학 |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석학, 그 열한 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에서의 컴팩트 집합 ( Compact Set for Metric Space ) (0) | 2021.11.16 |
---|---|
해석학, 그 열 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에서의 Interior와 Closure ( Interior and Closure for Metric Space ) (0) | 2021.10.29 |
해석학, 그 여덟 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 ( Metric Space ) (0) | 2021.10.20 |
해석학, 그 일곱 번째 이야기 | 실수의 거듭제곱 (0) | 2021.01.01 |
해석학, 그 여섯 번째 이야기 | 복소수의 정의 (0)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