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그 열 번째 이야기 | 거리공간에서의 Interior와 Closure ( Interior and Closure for Metric Space )  By 초코맛 도비

수학/해석학 | Analysis|2021. 10. 29. 23:31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우리는 저번 글에서 집합이 닫혀있다는 것과 열려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집합 중 조금 특이한 집합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 먼저 아래의 정의를 보자.

 

Definition 1.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E$의 모든 Interior Point의 집합을 $E$의 Interior라고 하며, 이를 $E^\mathsf{o}$와 같이 나타낸다.

 

Definition 2.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E$의 모든 Limit Point의 집합을 $E'$라고 쓰기로 하면, 집합 $\overline{E}=E \cup E'$를 $E$의 Closure라고 한다.

 

위와 같이 정의되는 interior와 closure는 상당히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먼저, interior의 경우, 정의에서부터 짐작할 수 있듯이 열린집합이며, 심지어 $E$의 부분집합 중 가장 큰 열린집합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closure는 닫힌집합이며, $E$를 부분집합으로 가지는 집합 중 가장 작은 닫힌집합이다. 다음 정리에 이러한 사실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있으므로 다음 정리를 보자.

 

Theorem 1.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 세 가지 명제가 성립한다.
(1) $E^\mathsf{o}$는 열린집합이다.
(2) $E=E^\mathsf{o}$는 $E$가 열린집합인 것과 동치이다.
(3) $F \subseteq X$가 열린집합이면 $F \subseteq E$인 것은 $F \subseteq E^\mathsf{o}$인 것과 동치이다.

 

Proof.

먼저 명제 (1)을 증명하기 위해 임의의 $x \in E^\mathsf{o}$를 생각하자.
그러면 $x$가 $E$의 interior point이므로 $N_r(x) \subseteq E$가 되도록 하는 양수 $r > 0$이 존재한다.
이제 임의의 $y \in N_r(x)$를 생각하자. 그러면 $d(x,y) < r$로부터 $r - d(x,y) > 0$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N_{r-d(x,y)}(y)$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z \in N_{r-d(x,y)}(y)$에 대하여 $d(x,z) \geq d(x,y)+d(y,z) < d(x,y) + (r-d(x,y)) = r$이므로 $N_{r-d(x,y)}(y) \subseteq N_r(x) \subseteq E$가 성립하여 $y$ 역시 $E$의 interior point가 된다. 즉, $N \subseteq E^\mathsf{o}$인 $x$의 근방 $N$이 존재한다.
따라서 $x$는 $E^\mathsf{o}$의 interior point이며, $x$의 선택이 임의적이었으므로 $E^\mathsf{o}$는 열린집합이다.

 

이제 명제 (2)를 증명하자. 일단, (1)에 의해 $E=E^\mathsf{o}$이면 $E$가 열린집합인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E$가 열린집합이면 $E=E^\mathsf{o}$가 된다는 것을 보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E$가 열린집합이면, $E$의 모든 점이 $E$의 interior point이므로 $E \subseteq E^\mathsf{o}$이며, $E$의 interior point가 $E$의 원소임은 자명하므로 $E=E^\mathsf{o}$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E=E^\mathsf{o}$인 것과 $E$가 열린집합인 것은 동치이다.

 

이제 명제 (3)을 증명하자. 먼저, $E^\mathsf{o} \subseteq E$이므로 $F \subseteq E^\mathsf{o}$이면 자명하게 $F \subseteq E$이다. 따라서 $F$가 열린집합일 때 $F \subseteq E$가 $F \subseteq E^\mathsf{o}$를 함의함을 보이면 충분하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임의의 $x \in F$를 생각하자. 그러면 $F$가 열린집합이라는 사실로부터 $x$는 $F$의 interior point이다. 따라서 $N \subseteq F$인 $x$의 근방 $N$이 존재하며, $F \subseteq E$라는 사실로부터 $N \subseteq E$임을 알 수 있다. 즉, $N \subseteq E$인 $x$의 근방 $N$이 존재하므로 $x$는 $E$의 interior point이고, 따라서 $x \in E^\mathsf{o}$임을 알 수 있다.
이때, $x$의 선택이 임의적이었으므로 $F \subseteq E^\mathsf{o}$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가 열린집합일 때, $F \subseteq E$와 $F \subseteq E^\mathsf{o}$는 동치이다.

$\blacksquare$

 

Theorem 2.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E$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 세 가지 명제가 성립한다.
(1) $\overline{E}$는 닫힌집합이다.
(2) $E=\overline{E}$인 것과 $E$가 닫힌집합인 것은 동치이다.
(3) $G \subseteq X$가 닫힌집합이면 $E \subseteq G$인 것은 $\overline{E} \subseteq G$인 것과 동치이다.

 

Proof.

먼저 명제 (1)을 증명하기 위해 $\overline{E}$의 limit point $x$가 $\overline{E}$의 원소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x$는 $E$의 limit point는 아니어야만 한다. 따라서 임의의 양수 $r$에 대하여 $d(x,y) < r$인 $y \in \overline{E} \setminus E$가 존재한다.
이때, $y$가 $E$의 limit point이므로 양수 $0 < h < r-d(x,y)$에 대하여 $N'_h(y)$ 위에는 $E$의 점 $z$가 존재하며, 이는 곧 $x$가 $E$의 limit point임을 의미한다.
이는 $x \notin \overline{E}$에 모순이므로 $\overline{E}$의 원소가 아닌 $\overline{E}$의 limit point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overline{E}$는 닫힌집합이다.

 

이제 명제 (2)를 증명하자. 일단, (1)에 의해 $E=\overline{E}$이면 $E$가 닫힌집합인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E$가 닫힌집합이면 $E=\overline{E}$가 된다는 것을 보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E$가 닫힌집합이면, $E$의 모든 limit point가 $E$의 원소이므로 $E' \subseteq E$이며, $\overline{E} = E \cup E'$이므로 $E = \overline{E}$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E=\overline{E}$인 것과 $E$가 닫힌집합인 것은 동치이다.

 

이제 명제 (3)을 증명하자. 먼저, $E \subseteq \overline{E}$이므로 $\overline{E} \subseteq G$이면 자명하게 $E \subseteq G$이다. 따라서 $G$가 닫힌집합일 때 $E \subseteq G$가 $\overline{E} \subseteq G$임을 함의함을 보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G$가 닫힌집합이므로 $G' \subseteq G$임은 자명하고, $E \subseteq G$로부터 $E' \subseteq G'$임이 자명하므로 $E' \subseteq G$임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overline{E} = E \cup E' \subseteq G$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G$가 닫힌집합이면 $E \subseteq G$인 것과 $\overline{E} \subseteq G$인 것은 동치이다.

$\blacksquare$

 

위의 두 정리[각주:1]로부터 $E$의 interior $E^\mathsf{o}$는 $E$의 부분집합 중 가장 큰 열린집합이며, $E$의 closure $\overline{E}$는 $E$를 부분집합으로 가지는 집합 중 가장 작은 닫힌집합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closure와 interior는 몇 가지 연산을 보존하는데, 이는 다음 정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orem 3.

거리공간 $X$와 그의 부분집합 $S$와 $T$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 몇 가지 명제가 성립한다.
(1) $\overline{\overline{S}}=\overline{S}$
(2) $(S^\mathsf{o})^\mathsf{o}=S^\mathsf{o}$
(3) $\overline{S \cup T} = \overline{S} \cup \overline{T}$
(4) $(S \cap T)^\mathsf{o} = S^\mathsf{o} \cap T^\mathsf{o}$
(5) $(\overline{S})^\mathsf{c}=(S^\mathsf{c})^\mathsf{o}$과
(6) $S \subseteq T \Rightarrow \overline{S} \subseteq \overline{T}$
(7) $S \subseteq T \Rightarrow S^\mathsf{o} \subseteq T^\mathsf{o}$

 

Proof.

Theorem 1과 Theorem 2에 의해 명제 (1)과 명제 (2)는 자명하다.

 

이제 명제 (3)을 증명하기 위해 $S \cup T$의 limit point $x$를 생각하자.
그러면 임의의 $r > 0$에 대하여 $N'_r(x) \cap (S \cup T) \neq \varnothing$이다.
만약 어떤 두 양수 $r,k$에 대하여 $N'_r(x) \cap S = \varnothing$이고 $N'_k(x) \cap T = \varnothing$이라면 $N'_r(x) \subseteq N'_k(x) \lor N'_k(x) \subseteq N'_r(x)$에 모순이므로 그러한 두 양수 $r,k$는 없다.
따라서 $x$는 $S$의 limit point거나 $T$의 limit point이며, 이로 인해 $\overline{S \cup T} \subseteq \overline{S} \cup \overline{T}$임을 알 수 있다.
또한, $S$의 limit point $x$를 생각하면, 임의의 $r > 0$에 대하여 $N'_r(x) \cap S \neq \varnothing$이므로 $N'_r(x) \cap (S \cup T) \neq \varnothing$임을 알 수 있다. 즉, $S$의 limit point는 모두 $S \cup T$의 limit point이며, $T$의 limit point 역시 마찬가지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overline{S} \cup \overline{T} \subseteq \overline{S \cup T}$이며, $\overline{S \cup T} \subseteq \overline{S} \cup \overline{T}$인 것을 이미 보였으므로 $\overline{S \cup T} = \overline{S} \cup \overline{T}$임을 알 수 있다.

 

명제 (3)과 명제 (5)가 모두 참이라면 명제 (4)는 자명하다. 따라서 명제 (5)만 보이면 명제 (4)와 명제 (5)가 동시에 보여진다.
먼저 $(\overline{S})^\mathsf{c} \subseteq (S^\mathsf{c})^\mathsf{o}$임을 보이기 위해 $x \notin \overline{S}$를 생각하자.
$x \notin \overline{S}$는 곧 $N_r(x) \cap S = \varnothing$이 되도록 하는 양수 $r > 0$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x$는 $S^\mathsf{c}$의 interior point이며, 이로 인해 $(\overline{S})^\mathsf{c} \subseteq (S^\mathsf{c})^\mathsf{o}$임을 알 수 있다.
이제 $(S^\mathsf{c})^\mathsf{o} \subseteq (\overline{S})^\mathsf{c}$임을 보이기 위해 $S^\mathsf{c}$의 interior point $x$를 생각하자. 그러면 $N_r(x) \subseteq S^\mathsf{c}$이도록 하는 양수 $r > 0$이 존재한다.
따라서 $x \notin S$이며, 동시에 $x$는 $S$의 limit point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x \notin \overline{S}$이다.
따라서 $(\overline{S})^\mathsf{c} = (S^\mathsf{c})^\mathsf{o}$이다.

 

명제 (6)과 명제 (7)은 명제 (5)에 의해 동치임이 자명하므로 명제 (6)만 보이면 충분하다.
$S \subseteq T \Rightarrow \overline{S} \subseteq \overline{T}$임을 보이기 위해 $S$의 limit point $x$를 생각하자.
그러면 임의의 양수 $r > 0$에 대하여 $N'_r(x) \cap S \neq \varnothing$이므로 $S \subseteq T$이면 $N'_r(x) \cap T \neq \varnothing$임을 알 수 있다. 즉, $x$는 $T$의 limit point가 되며, 따라서 $\overline{S} \subseteq \overline{T}$임을 알 수 있다. 

$\blacksquare$

 

위의 정리를 통해 closure와 interior는 포함관계를 보존하며, closure는 합집합을, interior는 교집합을 보존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closure의 closure, interior의 interior는 각각 closure와 interior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자연스러운 의문이 생기는데, closure의 interior나 interior의 closure는 각각 interior나 closure 또는 원래의 집합과 항상 같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는 사실이 아니며, 다음 예시를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Example 1.

거리공간 $\mathbb{R}$의 부분집합 $E = (0,1) \cup (1,2)$의 closure $\overline{E}$는 $[0,2]$이며, $\overline{E}$의 interior $(\overline{E})^\mathsf{o}$는 $(0,2)$이다. 이때, $(\overline{E})^\mathsf{o}$는 $E^\mathsf{o}$, $\overline{E}$, $E$ 중 그 어떤 것과도 같지 않다.

 

Example 2.

거리공간 $\mathbb{R}$의 부분집합 $E = [0,1] \cup \{2\}$의 interior $E^\mathsf{o}$는 $(0,1)$dlau, $E^\mathsf{o}$의 closure $\overline{E^\mathsf{o}}$는 $[0,1]$이다. 이때, $\overline{E^\mathsf{o}}$는 $E^\mathsf{o}$, $\overline{E}$, $E$ 중 그 어떤 것과도 같지 않다.

 

위의 두 예시를 통해 closure의 interior나 interior의 closure는 interior나 closure 또는 원래의 집합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의 예시는 어쩌면 closure와 interior, 여집합 연산을 반복 적용하면 매우 많은 수의 집합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 의문에 대한 대답까지 이번 글에 포함하게 되면 이번 글의 분량이 너무 길어질 것 같으므로 이에 대한 대답은 별도의 글을 작성해 업로드하도록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