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공간에서의 쿠라토프스키 14개 집합 정리 ( Kuratowski's 14-Set Theorem for Metric Space; Kuratowski's Closure-Complement Problem for Metric Space )  By 초코맛 도비

수학/기타 | Uncategorized|2021. 11. 10. 20:43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이번 글에서는 저번 글에서 언급했던 문제인 쿠라토프스키 14개 집합 정리 (Kuratowski's 14-Set Theorem)에 대해 소개할 것이다. 쿠라토프스키 14개 집합 정리란, 거리공간 $X$가 주어질 때, $X$의 그 어떤 부분집합 $E$를 들고 와도, $A$에 closure 연산과 여집합 연산을 반복적으로 적용해서 얻을 수 있는 집합의 개수는 최대 14개라는 정리이다. 쿠라토프스키 14개 집합 정리는 쿠라토프스키 closure-complement 문제라고도 불리며, 이는 쿠라토프스키 모노이드라는 특이한 대수구조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공간을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위상수학을 다룰 때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그러면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쿠라토프스키 14개 집합 정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Theorem 1. Kuratowski's 14-Set Theorem for Metric Space

거리공간 $X$가 주어졌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두 함수 $k : \mathscr{P}(X) \to \mathscr{P}(X)$, $c : \mathscr{P}(X) \to \mathscr{P}(X)$가 주어졌다고 하자.
$$ k : E \mapsto \overline{E} \\ c : E \mapsto E^\mathsf{c} $$
그러면 임의의 $E \subseteq X$에 대하여 $\{ E \}$로부터 $k$와 $c$에 의해 생성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은 14개이다.

 

Proof.

이번 증명에서는 서술의 편의를 위해 두 함수 $f$와 $g$의 합성 $f \circ g$를 $fg$와 같이 나타내도록 하겠다.
또한, 항등함수는 $\epsilon$으로 나타내도록 하겠다.

그러면 이 글Theorem 2에 의해 $kk = k$임이 자명하며, 여집합의 성질에 의해 $cc = \epsilon$임이 자명하다.

따라서 $k$와 $c$로 이루어진 문자열은 언제나 $k$가 두 번 연속으로 등장하지 않으며 $c$ 역시 두 번 연속으로 등장하지 않는 문자열로 환원될 수 있다. 단, 빈 문자열은 $\epsilon$으로 취급하자.

따라서 $k$와 $c$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 변환은 $k$, $ck$, $kck$, $\cdots$의 꼴이거나 $c$, $kc$, $ckc$, $\cdots$의 꼴이거나 $\epsilon$이거나 셋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

만약 $\cdots ck$와 $\cdots kc$ 모두 더 짧은 길이의 문자열과 같은 변환을 나타낸다면 $k$와 $c$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 변환의 개수가 유한하다.

이제 두 경우 모두 더 짧은 길이의 문자열과 같은 변환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이자.

먼저, 이 글의 Theorem 3에 의해 $ckc(E) = E^\mathsf{o}$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만약 $\overline{\left(\overline{E^\mathsf{o}}\right)^\mathsf{o}} = \overline{E^\mathsf{o}}$라면, $kckckckc = kckc$이며, $kckckck = kckckckcc = kckcc = kck$이므로 $\cdots ck$와 $\cdots kc$꼴의 변환의 개수가 유한하다.

이제 $\overline{\left(\overline{E^\mathsf{o}}\right)^\mathsf{o}} = \overline{E^\mathsf{o}}$임을 보이자.

먼저, 임의의 집합 $F$에 대하여 $F^\mathsf{o} \subseteq F$가 성립하므로 $\left( \overline{E^\mathsf{o}} \right)^\mathsf{o} \subseteq \overline{E^\mathsf{o}}$가 성립한다. 따라서 이 글의 Theorem 3에 의해 $\overline{\left( \overline{E^\mathsf{o}} \right)^\mathsf{o}} \subseteq \overline{E^\mathsf{o}}$이다.

또한, 임의의 집합 $F$에 대하여 $F \subseteq \overline{F}$가 성립하므로 $E^\mathsf{o} \subseteq \overline{E^\mathsf{o}}$이다. 따라서 이 글의 Theorem 3에 의해 $E^\mathsf{o} \subseteq \left( \overline{E^\mathsf{o}} \right)^\mathsf{o}$이며, 같은 이유로 $\overline{E^\mathsf{o}} \subseteq \overline{ \left( \overline{E^\mathsf{o}} \right)^\mathsf{o} }$이다.

따라서 $\overline{\left(\overline{E^\mathsf{o}}\right)^\mathsf{o}} = \overline{E^\mathsf{o}}$가 성립하며, 이로 인해 $k$와 $c$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 변환은 아래의 $14$개 뿐이다.

$$\epsilon,\;k,\;ck,\;kck,\;ckck,\;kckck,\;ckckck,\;c,\;kc,\;ckc,\;kckc,\;ckckc,\;kckckc,\;ckckckc$$

따라서 $\{E\}$로부터 $k$와 $c$에 의해 생성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아무리 많아야 $14$개를 넘을 수 없다.

이제 $\{E\}$로부터 $k$와 $c$에 의해 생성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14$개인 사례가 존재함을 보이면 정리가 증명된다.

$E \subseteq \mathbb{R}$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E\}$로부터 $k$와 $c$에 의해 생성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14$개이다.

$$E = \left( 0,1 \right) \cup \left( 1,2 \right) \cup \{ 3 \} \cup \left( \left[ 4, 5 \right] \cap \mathbb{Q} \right)$$

$\{E \}$로부터 $k$와 $c$에 의해 생성된 집합의 원소는 다음과 같다.

$$E = \left( 0,1 \right) \cup \left( 1,2 \right) \cup \{ 3 \} \cup \left( \left[ 4, 5 \right] \cap \mathbb{Q} \right) \\ k(E) = \left[ 0,2 \right] \cup \{ 3 \} \left[ 4,5 \right] \\ c(E) = \left( \right. -\infty,0 \left. \right] \cup \{ 1 \} \cup \left[ \right. 2,3 \left. \right) \cup \left( 3,4 \right) \cup \left( \left[ 4,5 \right] \cap \mathbb{Q}^\mathsf{c} \right) \cup \left( 5,\infty \right) \\ ck(E) = \left( -\infty,0 \right) \cup \left( 2,3 \right) \cup \left( 3,4 \right) \cup \left( 5,\infty \right) \\ kc(E) = \left( -\infty,0 \right) \cup \{ 1 \} \cup \left[ \right. 2, \infty \left. \right) \\ kck(E) = \left( \right. -\infty,0 \left. \right] \cup \left[ 2,4 \right] \cup \left[ \right. 5,\infty \left. \right) \\ ckc(E) = \left[ \right. 0,1 \left. \right) \cup \left( 1,2 \right) \\ ckck(E) = \left( 0,2 \right) \cup \left( 4,5 \right) \\ kckc(E) = \left[ 0,2 \right] \\ kckck(E) = \left[ 0,2 \right] \cup \left[ 4,5 \right] \\ ckckc(E) = \left( -\infty,0 \right) \cup \left( 2,\infty \right) \\ ckckck(E) = \left( -\infty,0 \right) \cup \left( 2,4 \right) \cup \left( 5,\infty \right) \\ kckckc(E) = \left( \right. -\infty,0 \left. \right] \cup \left[ \right. 2,\infty \left. \right) \\ ckckckc(E) = \left( 0,2 \right) $$

$\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