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 그 여덟 번째 이야기 | 명제논리에서의 치환 ( Substitution in Propositional Logic )  By 초코맛 도비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이번 글에서는 명제논리에서의 치환에 대해 다룰 것이다. 일단 치환에 대해 정의하기에 앞서 다음 정의를 보자.

 

Definition 1.

wff $\mathscr{A}$에 대하여 $\mathscr{B}$가 $\mathscr{A}$의 부분문자열이라고 하자. 만약 $\mathscr{B}$ 역시 wff라면 $\mathscr{B}$를 $\mathscr{A}$의 Subformula라고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자면, wff $\mathscr{A} = \neg \left( \left( \mathcal{p} \Rightarrow \mathcal{q} \right) \Rightarrow \neg \mathcal{r} \right)$에 대하여 $\mathscr{B} = \left( \mathcal{p} \Rightarrow \mathcal{q} \right) \Rightarrow \neg \mathcal{r}$와 $\mathscr{C} = \Rightarrow \neg \mathcal{r}$은 모두 $\mathscr{A}$의 부분문자열이지만, $\mathscr{B}$는 $\mathscr{A}$의 subformula이고 $\mathscr{C}$는 $\mathscr{A}$의 subformula가 아니다.

명제논리에서의 치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efinition 2.

wff $\mathscr{C}$가 wff $\mathscr{B}$의 subformula라고 하자. 이때, $\mathscr{B}$에서 $\mathscr{C}$의 위치에 $\mathscr{C}$ 대신 wff $\mathscr{C}'$를 집어넣어서 만들어진 새로운 wff를 $\mathscr{B}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와 같이 나타내며, 이를 $\mathscr{B}$에서 $\mathscr{C}$를 $\mathscr{C}'$로 치환한 wff라고 한다.

 

이렇게 정의된 치환에 대하여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Theorem 1.

$\mathscr{B}$, $\mathscr{C}$, $\mathscr{C}'$이 모두 wff이고 $\mathscr{C}$가 $\mathscr{B}$의 subformula라고 하자. 만약 $\mathscr{C}$와 $\mathscr{C}'$이 Tautologically Equivalent하다면 $\mathscr{B}' = \mathscr{B}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와 $\mathscr{B}$가 tautologically equivalent하다.

 

Proof.

임의의 Boolean Interpretation $v$를 생각하자. 그러면 $\mathscr{C}$와 $\mathscr{C}'$가 tautologically equivalent하므로 $\bar{v}(\mathscr{C}) = \bar{v}(\mathscr{C}')$라는 것을 기억해 두자.

만약 위의 조건 아래에서 $\bar{v}(\mathscr{B}) = \bar{v}(\mathscr{B}')$임을 보인다면 $v$의 선택이 임의적이므로 정리가 증명된다.

이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일 것이다.

$n(\mathscr{B})$를 $\mathscr{C}$를 subformula로 가지는 $\mathscr{B}$의 subformula의 개수로 정의할 때, $n(\mathscr{B})$에 대한 귀납법을 생각하자.

먼저, $n(\mathscr{B}) = 1$일 때를 생각하자. 만일 $n(\mathscr{B}) = 1$이라면, $\mathscr{B} = \mathscr{C}$이다. 따라서 $\mathscr{B}' = \mathscr{C}'$임을 즉시 알 수 있고, $\bar{v}(\mathscr{C}) = \bar{v}(\mathscr{C}')$임으로부터 $\bar{v}(\mathscr{B}) = \bar{v}(\mathscr{B}')$임이 자명하다.

$n(\mathscr{B}) \leq n$인 모든 경우에 대하여 정리가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n(\mathscr{B}) = n+1$일 때에도 성립함을 보이자.

그러면 $\mathscr{B} = \neg \mathscr{B}_1$인 경우와 $\mathscr{B} = \mathscr{B}_1 \Rightarrow \mathscr{B}_2$인 경우의 두 가지 경우로 상황을 나눠서 생각할 수 있다.

만약 $\mathscr{B} = \neg \mathscr{B}_1$이라면, $n(\mathscr{B}_1) = n$이므로 귀납가정에 의해 $\bar{v}(\mathscr{B}_1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bar{v}(\mathscr{B}_1)$이다. 따라서 $\bar{v}$의 정의와 $\mathscr{B}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neg \mathscr{B}_1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라는 사실으로부터 $\bar{v}(\mathscr{B}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bar{v}(\mathscr{B})$임을 얻을 수 있다.

만약 $\mathscr{B} = \mathscr{B}_1 \Rightarrow \mathscr{B}_2$라면, $\mathscr{B}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mathscr{B}_1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Rightarrow \mathscr{B}_2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임을 자명하게 알 수 있다. 이때, $n(\mathscr{B}_1), n(\mathscr{B}_2) \leq n$임이 자명하므로 귀납가정에 의해 $\bar{v}(\mathscr{B}_1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bar{v}(\mathscr{B}_1)$, $\bar{v}(\mathscr{B}_2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bar{v}(\mathscr{B}_2)$이다. 따라서 $\bar{v}$의 정의에 의해 $\bar{v}(\mathscr{B} \left[ \mathscr{C}' / \mathscr{C} \right]) = \bar{v}(\mathscr{B})$이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n(\mathscr{B})$에 관계없이 $\bar{v}(\mathscr{B}) = \bar{v}(\mathscr{B}')$이며, 이로 인해 $\mathscr{B}$와 $\mathscr{B}'$는 tautologically equivalent하다.

$\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