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론, 그 스물한 번째 이야기 | 모든 정렬집합은 유일한 서수와 Order Isomorphic하다  By 초코맛 도비

수학/집합론 | Set Theory|2020. 10. 1. 03:45
Language :

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실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
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


이번 글에서는 모든 정렬집합은 그와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하며, 그러한 서수는 유일하다는 사실에 대해 서술하려 한다. 이 정리는 결국 선택공리가 추가된 ZF 공리계 하에서 모든 집합 $X$는 전단사함수 $f:X\rightarrow\alpha$가 존재하는 서수 $\alpha$가 항상 존재한다는 따름정리를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이 다음 글에 서술될 기수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며 우리는 그를 이용하여 전단사함수의 존재성을 직접적으로 증명하지 않고도 두 집합의 크기가 같음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합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 모든 것이 겨우 10개의 공리로부터 유도된다는 것이 정말 놀랍지 않은가? 잡설은 이쯤 하고 이제 이 글의 주제로 다시 돌아가도록 하겠다. 일단, 이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Lemma가 필요하다. 따라서 그 Lemma들을 먼저 소개하도록 하겠다.

 

Lemma 1. Order Isomorphic한 두 서수는 같다.

 

두 서수 $\alpha$와 $\beta$가 Order Isomorphic하다고 하자.

이제 귀류법을 통한 증명을 위해 $\alpha\neq\beta$를 가정하자.

그러면 서로 다른 두 서수는 항상 비교 가능하므로 $\alpha\subseteq\beta$ 또는 $\beta\subseteq\alpha$이며, 둘 모두 서수이므로 $\alpha$가 $\beta$의 Initial Segment이거나 $\beta$가 $\alpha$의 Initial Segment이다.

하지만, 모든 정렬집합은 자기자신의 Initial Segment와의 Order Isomorphism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는 $\alpha$와 $\beta$가 Order Isomorphic하다는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두 서수 $\alpha$와 $\beta$는 같다.

$\blacksquare$

 

Lemma 2. 서수만을 원소로 가지는 추이적 집합은 서수이다.

 

모든 서수의 모임인 $\text{Ord}$가 정렬성을 만족하므로, 서수만을 원소로 가지는 모든 집합은 정렬집합이다. 따라서 서수만을 원소로 가지는 추이적 집합은 정렬집합이면서 동시에 추이적 집합이므로 서수이다.

$\blacksquare$

 

Lemma 3. 어떤 정렬집합의 모든 Initial Segment가 Order Isomorphic한 서수를 가지면 그 정렬집합과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한다.

 

$(W,\leq)$가 정렬집합이고 $W$의 모든 Initial Segment가 Order Isomorphic한 서수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W$의 $a$에 의한 Initial Segment를 $W[a]$라고 하자.

그리고 함수 $f:W\to\text{Ord}$를 $f(a)$와 $W[a]$가 동형이 되도록 정의하자.

그러면 $f$는 Lemma 1에 의해 잘 정의되며, 동시에 단사함수가 된다.

이때, $a,b\in W$에 대해 $a\leq b$이면 $W[a]\subseteq W[b]$이므로 $f(a)\leq f(b)$가 된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따라서 함수 $f$는 $W$와 $\text{im}f$의 Order Isomorphism임을 즉시 알 수 있다.

이떄, Lemma 2에 의해 $\text{im}f$는 서수이므로 $W$와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한다.

$\blacksquare$

 

Theorem. 모든 정렬집합은 유일한 서수와 Order Isomorphic하다.

 

$(S,\leq)$를 정렬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S$의 $a$에 의한 Initial Segment를 $S[a]$로 표현하자.

그리고 집합 $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E:=\{a\in S\;|\;\nexists\;\alpha\in\text{Ord}\;s.t.\;S[a]\text{ is Order Isomorphic to }\alpha\}$

만약 $E=\emptyset$이라면, Lemma 3에 의해 $S$와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한다.

따라서 귀류법을 이용한 증명을 위해 $E\neq\emptyset$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E$가 $S$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므로 $E$의 최소원소 $m$이 존재한다.

그러면 $n\leq m$인 $n\in S$에 대해 언제나 $S[n]$과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한다.

따라서 $S[m]$의 모든 Initial Segment는 Order Isomorphic한 서수를 가지며, Lemma 3에 의해 $S[m]$과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한다.

이는 $m$이 $E$의 최소원소임에 모순된다. 따라서 귀류법에 의해 $E=\emptyset$이다.

따라서 $S$와 Order Isomorphic한 서수가 존재하며, Lemma 1에 의해 그러한 서수는 유일하다.

$\blacksquar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