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론, 그 스물다섯 번째 이야기 | 가산 무한 기수의 성질 ( Properties of The Countable Infinite Cardinal )
이번 글에서는 가산 무한 기수 $\aleph_0$의 성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가산 무한 기수 $\aleph_0$에 대해 다음의 성질이 성립한다.
1. 모든 무한 기수 $\kappa$에 대해 항상 부등식 $\aleph_0\leq\kappa$가 성립한다. 2. $\aleph_0 + \aleph_0 = \aleph_0$ 3, $\aleph_0\aleph_0 = \aleph_0$ |
Part 1.
$\kappa$를 무한 기수라고 하고, 집합 $K$를 $|K|=\kappa$를 만족하는 임의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K$는 무한집합이므로 임의의 $K$의 유한 부분집합 $A$에 대해 $x\in K\setminus A$이 항상 존재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K$의 원소만으로 이루어진 무한 수열 $\{x_n\}_{n\in\mathbb{N}}$의 존재를 보장받을 수 있다. 이때, $X=\{x_n\}_{n\in\mathbb{N}}$는 $K$의 부분집합이며, $|X|=\aleph_0$임은 자명하므로 $\aleph_0\leq\kappa$이다.
$\blacksquare$
Part 2.
$\aleph_0+\aleph_0=|\mathbb{N}\sqcup\mathbb{N}|$이다. 이제 함수 $f:\mathbb{N}\sqcup\mathbb{N}\to\mathbb{N}$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x,y)=2x+y$$
그러면 함수 $f$가 전단사함수가 됨은 자명하다. 따라서 $|\mathbb{N}\sqcup\mathbb{N}|=|\mathbb{N}|$이다. 즉, $\aleph_0+\aleph_0=\aleph_0$이다.
$\blacksquare$
Part 3.
$\aleph_0\aleph_0=|\mathbb{N}^2|$이다. 이제 함수 $f:\mathbb{N}^2\to\mathbb{N}$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x,y)=\displaystyle\frac{(x+y+1)(x+y+2)}{2}-y-1$$
그러면 함수 $f$가 전단사함수가 됨은 자명하다. 따라서 $|\mathbb{N}^2|=|\mathbb{N}|$이다. 즉, $\aleph_0\aleph_0=\aleph_0$이다.
$\blacksquare$
'수학 > 집합론 | Set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론, 그 스물일곱 번째 이야기 | 칸토어 정리 ( Cantor's Theorem ) (0) | 2020.12.25 |
---|---|
집합론, 그 스물여섯 번째 이야기 | 무한 기수의 산술 연산 ( Arithmetic Operation of Infinite Cardinals ) (0) | 2020.12.06 |
집합론, 그 스물네 번째 이야기 | 알레프 수 ( Aleph Numbers ) (0) | 2020.12.02 |
집합론, 그 스물세 번째 이야기 | 기수의 산술 연산의 성질 (0) | 2020.12.02 |
집합론, 그 스물두 번째 이야기 | 기수 ( Cardinal Numbers ) (0) | 202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