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론, 그 여덟 번째 이야기 | 소수
이 글에서 다룰 소수는 prime number 으로, 과거부터 정수론에서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대상이다.
소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어떤 양의 정수 $p$ 에 대해, $p$ 의 양의 약수가 $1$ 과 $p$ 뿐이고, $p > 1$ 이면 $p$ 를 소수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1$ 보다 큰 정수 중 소수가 아닌 수를 합성수 (composite) 라고 한다. |
위처럼 정의된 소수는 일반적인 정수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러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정리를 보자.
$p$ 가 소수이고, $p \mid ab$ 이면 $p \mid a$ 또는 $p \mid b$ 가 성립한다. |
Proof :
$p \mid ab$ 일 때, $p \mid a$ 이면 더 이상 증명할 것이 없다. 만약 $p \nmid a$ 라면, $p$ 의 양의 약수는 $1$ 과 $p$ 뿐이므로 $gcd \left ( p, a \right ) = 1$ 이다. 따라서, 유클리드 보조정리에 의해 $p \mid b$ 가 성립한다.
위의 정리를 통해 아래의 두 가지 정리를 쉽게 얻을 수 있다.
$p$ 가 소수이고 $p \mid a_1 a_2 \cdots a_n$ 이면 $1\leq k \leq n$ 인 어떤 정수 $k$ 에 대해 $p \mid a_k$ 이다. |
Proof :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만약 $n = 1$ 이면 이는 지나칠 정도로 자명하다.
$n = 2$ 라면 위에서 쓴 정리 그대로이다.
어떤 자연수 $k$ 에 대해, $p \mid a_1 a_2 \cdots a_k$ 이면 $1 \leq b \leq k$ 인 어떤 정수 $b$ 에 대해 $p \mid a_b$ 라고 가정하자.
이제 $n = k + 1$ 일 때, $p \mid a_1 a_2 \cdots a_{k+1}$ 이면 위의 정리에 의해 $p \mid a_1 a_2 \cdots a_k$ 또는 $a \cdots a_{k+1}$ 인데
$p \mid a_1 a_2 \cdots a_k$ 는 앞선 가정에 의해 $1\leq b \leq k$ 인 어떤 정수 $b$ 에 대해 $p \mid a_b$ 이다.
따라서, 원래 명제는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정수 $n$ 에 대해 성립한다.
두 번째 명제는 이 정리를 이용하면 짧게 증명할 수 있다.
$p, q_1 ,q_2, \cdots, q_n$ 이 소수이고, $p \mid q_1 q_2 \cdots q_n$ 이면 $1 \leq k \leq n$ 인 어떤 정수 $k$ 에 대해 $p = q_k$ 이다. |
Proof :
위의 정리에 의해 $1 \leq k \leq n$ 인 어떤 정수 $k$ 에 대해 $p \mid q_k$ 를 만족한다. 그런데 $q_k$ 는 소수이므로 $1$ 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어떤 양의 정수로도 나누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p > 1$ 이므로 $p = q_k$ 이다.
'수학 > 정수론 | Number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론, 그 열 번째 이야기 | 디오판토스 방정식 (0) | 2020.06.11 |
---|---|
정수론, 그 아홉 번째 이야기 | 산술의 기본정리 (0) | 2020.06.11 |
정수론, 그 일곱 번째 이야기 | 최대공약수 (0) | 2020.05.22 |
정수론, 그 여섯 번째 이야기 | 나눗셈 정리 (0) | 2020.05.22 |
정수론, 그 다섯 번째 이야기 | 이항정리 (0) | 202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