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론, 그 일곱 번째 이야기 | 최대공약수
최대공약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나누어진다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부터 알아야 한다.
나누어진다는 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수 |
이는 다양한 성질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대표적으로 쓰이는 성질인 아래 두 가지를 증명하겠다.
정수 1. 2. |
Part 1 :
따라서
Part 2 :
따라서 어떤 정수
그런데
이제 위의 정의를 이용하면, 최대공약수를 정의할 수 있다. 최대공약수는 아래처럼 정의한다.
1. 2. 정수 |
적어도 하나는
만약
때로는 최대공약수임을 보일 때 아래의 성질을 만족함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두 조건은 동치이다.
1. 2. 정수 |
Proof :
조건 1. 은 같으므로, 조건 2. 에 대해서만 동치임을 보이자.
만약 어떤 정수
따라서 주어진 조건은 최대공약수의 정의와 동치이다.
최대공약수는 아래와 같은 성질을 만족하는데, 증명과정이 짧은 편이 아니므로 잘 알아두자.
적어도 하나는 |
Proof :
집합
따라서 정렬성의 원리에 의해
나눗셈 정리에 의해,
이 때,
따라서
같은 방법으로,
이제 어떤 정수
그런데
따라서
위의 정리로부터 아래와 같은 따름정리를 얻을 수 있다.
Proof :
모든 정수
그러므로
또한, 적당한 정수
따라서
또, 둘 중 하나는 0이 아닌 두 정수
Proof :
위의 결과는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명제를 보자.
Proof :
따라서
또한, 여기서 꼭 다루어야 할 중요한 정리가 있는데, 유클리드 보조정리라 불리는 아래의 명제이다.
Proof :
'수학 > 정수론 | Number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론, 그 아홉 번째 이야기 | 산술의 기본정리 (0) | 2020.06.11 |
---|---|
정수론, 그 여덟 번째 이야기 | 소수 (0) | 2020.06.11 |
정수론, 그 여섯 번째 이야기 | 나눗셈 정리 (0) | 2020.05.22 |
정수론, 그 다섯 번째 이야기 | 이항정리 (0) | 2020.05.20 |
정수론, 그 네 번째 이야기 | 정렬성의 원리 (1) | 2020.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