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론, 그 열한 번째 이야기 | 소수의 성질
소수의 정의는 앞선 글에서 다루었으므로, 이제 소수의 성질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가장 중요한 성질을 고르자면, 아마 아래의 특징일 것이다.
Theorem 1.
소수는 무한히 많다. |
Proof.
귀류법을 사용하여,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하고 모순을 이끌어내자.
소수가 유한하다면, 소수는 오름차순으로 $p_1 = 2,\;p_2 = 3,\;p_3 = 5,\;p_4 = 7\cdots$ 처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소수, 즉 가장 큰 소수를 $p_n$ 이라고 하자.
이 때, 양수 $P = p_1 p_2 \cdots p_n + 1$ 을 생각해보자.
$P > 1$ 이므로 산술의 기본정리에 의해 $P$ 는 어떤 소수 $p$ 에 의해 나누어진다.
그러나 $p$ 는 소수이므로, $p_1,\;p_2,\;\cdots\;p_n$ 중 하나이다.
따라서, $p \mid p_1 p_2 \cdots p_n$ 이고, $p \mid P = p_1 p_2 \cdots p_n + 1$ 이다.
이는 곧 $p \mid \left ( P - p_1 p_2 \cdots p_n \right ) = 1$ 을 의미하는데, $p$ 는 소수이므로 $p \nmid 1$ 이다.
따라서 이는 모순이고, 처음의 가정이 거짓이다.
따라서 소수는 무한히 많다.
$\blacksquare$
또, 위의 증명을 모방하여 $n$ 번째 소수인 $p_n$ 의 크기에 대한 성질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Theorem 2.
$p_n$ 을 $n$ 번째 소수라고 하면, $p_n \leq p_1 p_2 \cdots p_{n-1} + 1$ 이 성립한다. 단, $n$ 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
Proof.
위의 부등식을 증명하기 위해, 우리는 양수 $P = p_1 p_2 \cdots p_{n-1} + 1$ 을 생각하자.
이 때, 산술의 기본정리에 의해 $P$ 는 어떤 소수 $p$ 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p \leq p_{n-1}$ 이면 $p \mid p_1 p_2 \cdots p_{n-1}$ 이고 $p\mid P = p_1 p_2 \cdots p_{n-1}+1$ 이므로 $p \mid 1$ 이 되어 모순.
즉, $p > p_{n-1}$ 이고 이는 $p \geq p_n$ 을 의미한다. 그런데 $p \mid P$ 가 성립하므로$$p_n \leq p = |p| \leq |P| = P$$ 이다. 따라서, $p_n \leq P = p_1 p_2 \cdots p_{n-1} + 1$ 이 성립한다.
$\blacksquare$
그런데 위의 부등식은 $p_n$ 의 최대 크기를 알기 위해서 $p_1,\;p_2\;\cdots\;p_{n-1}$ 의 크기를 알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앞에 나오는 소수와 무관하게 $p_n$ 의 최대 크기를 알려주는 명제를 증명할 것이다.
Theorem 3.
$p_n$ 이 $n$ 번째 소수이면, $p_n \leq 2^{2^{n-1}}$ |
Proof.
증명을 위해 $n$ 에 대해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만약 $n = 1$ 이면, 위 부등식은 $p_1 = 2 \leq 2^{2^0} = 2$ 이므로 참이다.
이제 어떤 자연수 $k$ 에 대해, $n = 1,2,\cdots, k$ 일 때 위의 부등식이 참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 $p_{k+1} \leq p_1 p_2 \cdots p_k + 1$ 이 성립하므로 이 부등식은 $$p_{k+1} \leq p_1 p_2 \cdots p_k + 1 \leq 2\cdot 2^2 \cdot 2^4 \cdots 2^{2^{k - 1}} + 1 = 2^{1 + 2 + 2^2 + \cdots 2^{k-1}} + 1$$ 로 바뀐다. 그런데 임의의 자연수 $n$ 에 대해 $1\leq 2^{2^n-1}$ 이고, $1+2+2^2 + \cdots 2^{n-1} = 2^n-1$ 이므로 $$p_{k+1}\leq 2^{2^k-1} + 2^{2^k-1} = 2^{2^k}$$ 가 되어, 위의 부등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자연수 $n$ 에 대해 $p_n \leq 2^{2^{n-1}}$ 이 성립한다.
$\blacksquare$
우리는 위의 정리로부터 자연수 $n$ 에 대해 $2^{2^n}$ 보다 작은 소수는 적어도 $n + 1$ 개임을 알 수 있다.
$p_1,\;p_2,\;\cdots,\;p_{n+1}$ 이 모두 $2^{2^n}$ 보다 작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에서 구한 $n$ 번째 소수의 최댓값은 그리 좋은 결과를 얻은 것은 아니다.
실제로 $10$ 번째 소수는 $29$ 인데 반해, $2^{2^{10-1}}$ 의 값은 $1.3 \times 10^{154}$ 이상의 매우 큰 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베르트랑의 공준(버트란드의 공준이라고도 부른다)을 통해 위에서 구한 값보다 좋은 최댓값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려운 증명과정으로 인해 결과만 소개하고, 증명은 차후에 다루도록 하겠다.
베르트랑의 공준은 아래의 명제이다.
$2$ 이상의 정수 $n$ 에 대해, $n < p < 2n$ 을 만족하는 소수 $p$ 가 항상 존재한다. |
'수학 > 정수론 | Number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론, 그 열세 번째 이야기 | 합동이론 (0) | 2020.06.13 |
---|---|
정수론, 그 열두 번째 이야기 | 소수와 등차수열 (0) | 2020.06.12 |
정수론, 그 열 번째 이야기 | 디오판토스 방정식 (0) | 2020.06.11 |
정수론, 그 아홉 번째 이야기 | 산술의 기본정리 (0) | 2020.06.11 |
정수론, 그 여덟 번째 이야기 | 소수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