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론, 그 두 번째 이야기 | Recursion Theorem  By 위대한 멜론빵

Recursion Theorem 은 차후 어떤 함수의 존재성과 유일성을 보이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정리이다.

그렇기에 따로 포스팅하고자 한다.

 

Recursion Theorem 은 아래와 같은 정리이다.


     어떤 집합 X와 그의 원소 aX, 그리고 함수 f:XX 가 주어질 때,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F:NX 는 유일하게 존재한다.

     1.F(1)=a

     2.F(S(n))=f(F(n))

 

위 정리를 증명하자.

 

Part 1. 유일성

위의 두 조건을 만족하는 서로 다른 함수 F:NXG:NX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F(1)=G(1)=a 임은 조건에 의해 자명하다. 

 

만약 어떤 정수 k 에 대해 F(k)=G(k) 가 성립한다면,

F(k+1)=f(F(k))=f(G(k))=G(k+1) 이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xN,F(x)=G(x) 이고, 이는 FG가 같은 함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는 유일하다.

 

Part 2. 존재성

domfN 이고 ranfX 인 함수들의 집합을 A 라고 하자.

 

우리는 다음과 같은 함수 F를 선택할 것이다.

F={(nω):pAs.t.(ndompp(n)=ω)}

FA 임은 정의에 의해 자명하고, 만약 존재한다면 유일함 또한 증명하였으므로,  domF=N 임을 보이자

 

정의에 의해, 1domF 가 성립하고, ndomF 라고 가정하자.

이 때, 정의에 의해 pAs.t.ndomp 이고, 함수 q를 다음처럼 정의하자

q=p{S(n)f(p(n))}

이때 qA 이므로, S(n)domqdomF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domF=N 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는 존재한다.

댓글()